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3일 “오는 3월 이전 남북대화가 개최돼야 북미대화와 함께 한반도 평화의 봄을 다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윤건영 의원과 설훈 의원이 남북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주장한 데 이어 민주당 지도부 차원에서도 대화 무드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4월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북한 이벤트’를 다시 꺼내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북미·남북대화에서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한 말을 거론하며 “북한은 일체의 도발 행동을 중단하고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열어놓은 대화와 협력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성과를 계승하고 북미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의 중재자 역할이 긴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표는 “북한 당국은 우리 정부가 제안한 방역·보건 협력을 위한 남북대화에 적극 호응해야 한다”며 “북한은 문재인 정부의 손을 잡아야 북미대화의 길이 열리고 정상 국가로서 국제사회에 참여할 기회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만약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 과거와 같은 방식의 무력 도발을 한다면 국제사회의 봉쇄와 제재 분위기만 높아질 것”이라며 “기회는 두 번 찾아오지 않는다. 오판으로 평화와 번영의 기회를 걷어차는 과거의 행동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야권은 민주당이 4월 선거를 앞두고 정치 이벤트를 기획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선거를 코앞에 두고 여당이 돌연 남북정상회담을 꺼내는 배경부터 곱씹어봐야 한다”면서 “여전히 북한은 핵 개발과 군사 강국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정상회담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꼬집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는 최근 정부가 제안해온 남북 협력 방안에 대해 비본질적인 문제라고 일축하는 등 싸늘한 반응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대화 분위기가 전혀 조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 원내대표가 구체적으로 3월이라는 시점까지 제안하자 민주당의 제안 의도에 대한 의구심만 커지고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의 최측근인 윤건영 의원은 지난 1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총비서가) 서울이나 대한민국을 답방한다면 남북 관계에 일대 진전이 있을 것”이라며 “반드시 올해 안에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