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대상 연령 기준을 세 번째 변경했다. 앞서 두 차례는 젊은 층에서 혈소판희귀혈전증(TTS) 발생 우려를 고려해 대상 연령을 높였지만 이번에는 기준 연령을 50세 이상에서 30세 이상으로 대폭 낮췄다. 정부의 오락가락 접종 정책과 더불어 TTS 이상 반응 발생 사례는 극히 드물지만 발생 시 사망률이 높아 국민적 우려도 크다. 게다가 13일부터 30세 이상의 잔여 AZ 백신 접종이 가능한데도 정작 병원 등 의료 현장에서는 “방역 당국으로부터 지침을 받지 못했다”며 예약을 거부하는 곳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부 병원들은 관련 문의가 이어지자 직접 질병 당국에 문의해 30세 이상 접종 허용 방침을 확인받은 후 접종을 시작하기도 했다. AZ 잔여 백신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허겁지겁 접종 연령대를 낮추면서 정작 접종 현장에는 관련 정보나 지침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3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만 30세 이상 연령대도 원할 경우 AZ 잔여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이날부터 위탁 의료 기관 등의 예비 명단을 통해 잔여 백신 접종 예약이 가능하고 오는 17일부터는 네이버와 카카오 등을 통해 당일 예약 서비스를 활용한 접종이 시작된다.
정부가 AZ 백신 접종 연령을 낮춘 것은 지난 12일부터 60~74세 AZ 백신 1차 접종자의 2차 접종이 시작되면서 잔여 백신이 대량 발생했지만 연령 제한 때문에 폐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접종 현장에서 폐기 물량 문제를 계속 제기하자 결국 권고는 50세 이상으로 유지하되 30~49세가 원한다면 접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문제는 방역 당국이 정책 변경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는 국민 불신으로 이어져 당초 기대했던 접종 확대 효과를 거두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달 2일 TTS 발생 위험이 접종 이득보다 크다고 판단, 30~40대 연령대의 접종을 제한했다. AZ 백신 접종자 1,629만 명 중 3건의 TTS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과 한 달 사이에 ‘버려진 백신을 해소하겠다’며 접종 대상을 고무줄처럼 다시 확대한 것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에 대해 “접종의 이득과 위험은 방역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50대 이상의 접종을 권고하지만 4차 유행으로 감염의 위험이 조금 더 높아졌기 때문에 본인이 희망할 경우 기회를 열어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안정성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11일(현지 시간) 영국 옥스퍼드대학병원 연구진은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게재한 논문에서 3~6월 AZ 백신 접종자 220명을 살펴본 결과 “혈전증이 발생률은 낮지만 사망률은 무려 23%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혈소판 수가 적거나 뇌출혈이 있는 경우는 사망률이 73%로 치솟았다. 전문가들 역시 우려를 표했다. 천은미 이대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일부 국가들이 AZ 백신 접종 연령 제한을 없애거나 낮추는 등 변경하는 이유는 TTS 때문이지 잔여 백신이 남기 때문이 아니다”라며 “접종 가능 연령을 낮춰 30~40대가 접종 후 중증 이상 반응이 발생하면 누가 책임지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의료 현장에서도 안전성 문제 때문에 선뜻 접종을 권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