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다 보면 풍경이나 정물, 무생물과 사물에서도 감정이 느껴지는 표정이 발견될 때가 있어요. 영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주변을 잘 관찰하고 주변 사물이나 풍경과 교감하면 그것들에서 표정이 보입니다. ‘표정’은 사람에게 쓰는 표현이지만 그 사물과 내가 일대일로 나눈 사적인 대화, 그것과 나만 있는 그 상태를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전시 제목을 ‘너의 표정’이라고 붙였습니다.”
영화감독 박찬욱(58·사진)이 정식 사진작가로 첫 갤러리 개인전을 연다. 박 감독은 1일 부산시 수영구 망미동 국제갤러리 부산점에서 개막한 전시 ‘너의 표정’ 기자 간담회에서 “영화감독으로 불리지만 오늘만큼은 사진 하는 사람으로 여기에 섰다. 영화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인 대학 신입생 때부터 사진 동아리에서 열심히 배워왔다”고 말했다. 오는 12월 19일까지 열리는 이 전시에는 지난 2013년 이후 그가 촬영한 사진 작품 중 엄선한 30점이 걸렸다.
박 감독 특유의 미장센은 사진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인도네시아 발리의 길거리에서 촬영한 과일 정물 사진에서는 어둑한 배경 위로 잎으로 만든 그릇, 그 위에 놓인 노란 바나나와 빨간 사과, 울긋불긋한 꽃잎 등이 화려하게 빛난다. 가까이 다가가야 비로소 보이는 새까만 개미 떼는 기막힌 반전이다. 이 작품에 대해 박 감독은 “신께 바치는 일종의 공물인데 과일 표면을 뒤덮은 개미는 개미의 모습으로 현현한 신으로 여겨질 수도, 잘 차려놓은 음식을 엉뚱한 이가 먹는 모습일 수도 있다”며 “어두운 무채색 배경에서 도드라지는 컬러는 내가 좋아하는 요소이자 내 영화의 룩(look)과도 닮은 요소”라고 설명했다.
박 감독의 사진들은 무생물을 의인화하고 감정을 투영하는 점에서 탁월함을 보인다. 모로코 호텔에서 해 뜰 무렵 포착한 접힌 파라솔 사진은 “꼭 이슬람 유령처럼 밤에는 웅성웅성 모였다가 사람들이 오면 흩어져 펼쳐질 것들” 같다는 상상을 펼치게 한다.
영화감독으로서 항상 카메라로 작업하면서도 굳이 사진을 찍는 까닭에 대해 작가는 ‘탈출구’이자 ‘해독제’라는 표현을 썼다.
“(영화감독이라는) 직업 때문에 하기 싫은 여행이나 호텔 생활이 힘들고 지치는데 어느 도시에 가든 하루 정도는 일 안 하고 시간을 내 사진을 찍으면서 지친 내 자신을 달랩니다. 사진은 영화처럼 복잡한 층위, 스토리와 캐릭터를 복합적으로 보여줄 수 없지만 그 단순성 때문에 보는 사람 각자의 시선이 담깁니다. 영화가 의도되고 디자인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사진은 멈춰 있는 단일 이미지 안에 독자적 완결성을 갖습니다.”
사진에서 그가 추구하는 것은 “아름다워 보이지 않는 것에서 찾아내는 아름다움”이며 우연과 즉흥적 발견에 대한 “만남과 존중”이다. 이번 전시에 맞춰 사진집 ‘너의 표정(을유문화사 펴냄)’도 출간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