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이달 말이나 다음 달 하루 신규 확진자가 2만 명대에 달할 것에 대비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선별적으로 진행하고 자가 검사 키트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외에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료 대응을 위해 전반적인 진단·치료 등 의료 대응 체제 재편을 검토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다음 주부터 국내에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도입하는 등 단계적 일상 회복 재전환을 위한 다각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처음으로 임신부 확진자가 사망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검역·역학조사·진단검사를 효율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감염 시 위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이 높은 고연령층 등에 대해서 수시로 자가 검사 키트를 활용해 가능한 신속하게 확진자를 파악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루에 75만 건가량 진행할 수 있다. 오미크론 유행으로 확진자가 폭증하면 검사 수가 이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 지난해 12월 15~21일 신규 확진자 수가 5,000~8,000명가량일 때 하루 PCR 검사는 71만 4,516건 진행됐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확진자가 더 늘어나면 검사 능력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기 때문에 자가 검사 키트 활용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우선순위를 정해 감염 가능성이 큰 국민들부터 PCR 검사를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PCR 검사 수요가 급증할 경우를 대비해 효율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다. 역학조사도 요양병원·시설 등 고령자나 기저 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 집단감염에 집중 투입하고 시민 참여형으로 역학조사의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정부가 방역 체계를 손보는 것은 델타에 비해 전파력이 2~3배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유행할 경우 3월 초에는 신규 확진자가 2만 명가량 발생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만~2만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는 중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 중증도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날 열린 ‘오미크론 발생 전망 및 향후 과제 토론회’에서 “확진자가 1월 말 이후 급격하게 증가해 3월 초중순이 되면 일주일 이동 평균 확진자가 2만 명까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기존 확진자 수 대비 위중증 환자 비중을 감안하면 3월 중순에는 재원 중환자 수는 2,000명에 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정 교수는 “오미크론 변수 때문에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를 최대한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며 “경증환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한 달 반 정도 남은 기간 동안 경증환자 관리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는 경증 확진자의 폭증에 대비하기 위해 관리 체계를 효율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원장은 “재택치료자의 위험도를 구분해 저위험군은 관리 수준을 낮추는 등 인력이 더 많은 양의 서비스를 무리 없이 감당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체질 개선을 해야 한다”면서 “지역구마다 최소한 1개 이상의 대면 외래 진료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원격의료를 활성화해 필요하면 병원에 입원시키는 의료시스템이 작동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음 주부터 현장에 도입되는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도 나왔다. 정 교수는 “경구용 치료제 물량이 충분히 확보돼 투약된다면 위중증 환자를 절반 정도 줄여 의료 능력이 감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 출산 준비를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를 받았던 임신 32주 차 임신부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입원 치료를 받다 28일 출산한 뒤 증상이 악화해 지난 4일 사망했다. 이 여성은 기저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고 백신은 접종하지 않은 상태였다. 출산한 신생아는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고 별도 증상은 보이지 않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