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분석(DTC)을 통해 질병이 발생한 후 치료하는 시대에서 질병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는 시대로의 전환이 속도 있게 진행돼야 합니다.”
한국바이오협회 산하 유전체기업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황태순 테라젠바이오 대표는 9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DTC 검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산업계는 미래 질환 발생률을 억제·예방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고, 정부는 적절한 규제(가이드라인)와 지원 시스템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TC는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개인이 직접 기업에 의뢰해 유전자 검사를 받는 소비자 대상 직접 유전자 검사다.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다. 2020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0년 65세 이상 노인 건강보험 진료비 규모가 37조 원을 넘어간 후 지금의 청년세대가 노인이 되는 2060년에는 노인진료비가 최대 337조 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DTC 유전자 검사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0년 9억 7000만 달러(약 1조 2000억 원)정도에서 매년 12% 이상씩 증가해 2027년에는 22억 달러(약 2조 6000 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 대표는 “DTC 검사는 평상시 국민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유전적 특성 분석을 통해 생활 습관을 개선시켜 주므로, 현재의 청년들이 노인이 됐을 때 막대한 진료비에 투입될 국가 재정 부담 해소와 효율적 국가예산 집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방 중심의 선진형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바이오 헬스케어 강국으로의 위상을 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강점 때문에 정부에서도 DTC 산업 육성에 나섰다. 유전자 검사는 생명윤리법 제50조에 따라 지난 10~20년간 의료기관을 통해서만 이뤄졌다. 하지만 2016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말까지 약 5년여간 정부와 의료기관·법조계·시민단체·연구중심 기업들이 시범 서비스를 진행해 왔다. 지난해 말 유전자검사기관 정식인증제 도입 및 유전자검사기관 숙련도 평가 의무화 등의 내용을 담은 생명윤리법 일부 개정 합의까지 이뤄지며 올해 1월부터는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갔다.
황 대표는 향후 성공적인 DTC 유전자 검사 인증제 정착과 유전체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계의 연구개발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유전자 검사항목 신청에 있어서 절차나 근거자료 등의 제출이 간소화돼야 한다”면서 “현재 2억~3억 원 정도에 불과한 유전체 산업 예산 역시 청년층의 5~10년 미래를 내다보고 크게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