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40%대로 올라서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오차 범위 밖에서 앞섰다. 이 후보의 견고한 지지층인 3040세대 가운데 30대가 급격히 이탈한 결과다. 대선을 불과 20여 일 남긴 상황에서 세대별 지지 후보 간 격차가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가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자 대결 조사 결과 이 후보는 31.3%, 윤 후보는 41.2%였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3.9%,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8.9%였고 지지 후보가 ‘없다’ ‘모르겠다’는 부동층은 12.6%였다. 직전 조사(4~5일, 조선일보·칸타코리아)와 비교하면 이 후보는 0.3%포인트 상승에 그친 반면 윤 후보는 6.2%포인트가 올랐다. 두 후보 간 지지율 차이는 4%포인트에서 9.9%포인트로 벌어졌다. 특히 이 후보는 그동안 강세를 보였던 30대의 지지율(32.6%→23.4%)이 크게 하락했고 윤 후보는 25.7%에서 42.0%로 수직 상승하며 지지율 변화를 일으켰다.
윤 후보와 안 후보의 야권 후보 단일화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41.5%였다. 단일 후보 선호도는 윤 후보가 43.0%, 안 후보는 37.1%였지만 누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서도 이 후보를 앞섰다. 윤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일 경우를 가상한 3자 대결에서 윤 후보 46.2%, 이 후보 33.7%, 심 후보는 5.8%였다. 안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일 경우에도 안 후보 44.4%, 이 후보 28.9%, 심 후보 4.1%였다. 단일화 방식에 대한 대답은 ‘일대일 여론조사(35.6%)’ ‘후보 간 대가 없는 양보 방식(29.4%)’ ‘책임 총리를 맡기는 공동정부(22.7%)’ 순이었다.
정권 교체 여론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번 대선의 희망 결과에 대해 57.7%는 ‘정권 교체’라고 답했고 ‘정권 재창출’은 33.2%에 그쳤다. 11일로 예정된 2차 TV토론을 ‘반드시 시청할 것이다(46.4%)’ ‘웬만하면 시청할 것이다(37.5%)’ 등 지켜보겠다는 응답자가 83.9%에 달했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30.7%, 국민의힘 38.5%, 정의당 4.6%, 국민의당 6.3% 등이었다.
이재명, 4050·블루칼라 우위…윤석열은 4050外·수도권 앞서
윤 후보는 2030세대에서, 이 후보는 4050세대에서 강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윤 후보는 20대(18~29세)에서 34.2%를 얻어 이 후보(13.9%)를 20.3%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직전조사(4~5일, 조선일보·칸타코리아)서 뒤처졌던 30대(이 후보 32.6%, 윤 후보 25.7%)에서 윤 후보가 42%까지 지지율이 치솟았다. 결국 30대에서도 이 후보(23.4%)를 18.6%포인트 차이로 따돌렸다. 선거 한 달 전에 윤 후보의 주요 지지층이 2030 청년 세대라는 점이 이번 조사에서 재차 확인된 셈이다.
4050세대(1679만 명)에서는 이 후보가 여전히 윤 후보를 압도했다. 4050세대는 2030세대(1431만 명)보다 인구가 248만 명이나 많다. 40대에서는 이 후보가 49.1%를 기록해 윤 후보(30.6%)와의 격차가 18.5%포인트에 달했다. 50대에서도 이 후보가 44.8%로 윤 후보(33.9%)보다 10.9%포인트 우위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도 윤 후보(56.4%)는 60대 이상에서 이 후보(25.3%)를 크게 눌렀다. 연령별 지지율만으로는 2030세대와 함께 ‘세대 포위론’에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다만 기반은 허약해 보인다. 윤 후보의 주요 지지층인 20대에서 제3 지대로 표가 분산되는 기류는 계속됐다. 20대 가운데 14%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12.2%가 심상정 정의당 후보를 지지했다. 또 20대는 전 연령대 가운데 ‘모름·무응답(14.8%)’과 지지 후보가 ‘없다(9.7%)’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20대 유권자 절반이 제3 지대와 부동층에 몰려 있다는 얘기다.
李, 4050 지지율 40%대로 굳건…한국노총 등 노동계 표심도 확보
지역별 지지율 구도를 보면 윤 후보는 가장 많은 표가 몰린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서울은 윤 후보가 38.8%, 이 후보가 35.1%, 인천·경기는 각각 39.0%, 32.7%로 윤 후보가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역대 대선을 보면 서울과 인천·경기에도 모두 이겼던 후보들이 대권을 거머쥐었다. 18대 대선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울에서 밀렸지만 인천·경기에서 앞서며 당선됐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실망한 수도권 민심이 윤 후보의 손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윤 후보는 ‘스윙보터(결과를 좌우하는 표심)’로 불리는 대전·세종·충청에서도 45.7%를 얻어 이 후보(30.2%)를 크게 따돌렸다. 보수의 텃밭인 대구·경북의 지지율은 윤 후보 63.2%, 이 후보 8.6%로 압도적이었다. 이 후보가(57.4%) 윤 후보(18.6%)와 큰 격차를 벌린 광주·전라를 제외하면 전국 대부분의 권역에서 윤 후보가 지지율에서 앞섰다.
직업별로는 블루칼라(현장·생산직)층에서 이 후보(41.8%)가 윤 후보(29.5%)에 비해 지지율이 높았다. 이 후보는 지난 조사(31.4%)에 비해 블루칼라에서 지지율이 뛰었는데 최근 한국노총이 ‘소년공’ 출신인 이 후보를 공개 지지 선언하는 등 노동계 민심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자영업에서는 윤 후보(46.9%)가 이 후보(35.4%)를 앞섰다.
尹 '스윙보터' 대전·충청 45.7% 등…전체 지지율 9.9%P 차이 우세 속
이번 조사에서는 중도층이 대거 윤 후보 쪽으로 이동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지난 조사에서 이 후보 32%, 윤 후보 27.4%로 나왔던 중도층 민심은 이번 조사에서 윤 후보 40.8%, 이 후보 29.8%로 바뀌었다. 마찬가지로 국민의당 지지층에서 윤 후보의 지지율이 30.3%를 기록해 지난 조사(26.3%)보다 4%포인트 올랐다. 반대로 이 후보는 국민의당 지지층에서 지지율이 3.9%로 지난 조사(7%)에 비해 하락했다. 안 후보를 향해 양당이 동시에 ‘단일화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의당 지지층이 윤 후보 쪽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번 조사는 무선(88.2%), 유선(11.8%) 임의전화걸기(RDD)를 활용한 전화 면접원 방식으로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이며 응답률은 10.3%였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