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이 확산되면서 코로나19 재감염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오미크론의 강한 면역 회피력 때문에 재감염이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하는 데다, 하위 변이인 스텔스 오미크론은 강한 전파력까지 갖춘 탓으로 분석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18일 “이달 초 감염됐다가 다시 증상이 생겨서 오시는 분들이 있다”며 "한달에서 두달 이내 증상이 다시 발생하면 스텔스 오미크론에 재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현장에서 재감염 추정 사례를 몇 명 봤다”고 말했다. 3차접종까지 마친 후 최근 재감염된 농구선수 출신 방송인 하승진 씨의 사례도 최근 보도된 바 있다.
다만 국내 공식 집계된 재감염 추정 사례는 미미한 수준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오미크론 확산이 본격 시작된 지난 1~2월 재감염자 수는 86명으로 월 평균 43명이다. 델타 변이가 유행했던 지난해 7~12월 재감염자 159명(월평균 26.5명)과 비교하면 월 평균 재감염자 수가 2배 가량 늘었지만 절대적인 숫자는 작은 수준이다.
이는 오미크론의 면역 회피력이 강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오미크론은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키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많아 면역 회피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델타 변이에 감염됐던 사람도 오미크론에 쉽게 감염되는 것이다. 천 교수는 "이미 델타에 감염됐다가 오미크론에 재감염된 사례가 꽤 있다"며 "약 50% 가량이 델타에 감염됐다가 오미크론에 감염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인 스텔스 오미크론 확산도 재감염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오미크론 대비 전파력이 최대 80%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은 한달 전 4%대에 그쳤지만 현재 26%를 넘어선 상태다. 스텔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다면 오미크론에 걸린 사람이 스텔스 오미크론에 재감염될 가능성도 높아지는 셈이다.
한국보다 앞서 오미크론 확산을 경험한 영국의 경우 올해 1~2월 재감염 추정 사례는 65만건에 달했다. 전체 확진의 10%에 이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