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자율주행차, 드론 택시 등 미래 운송 수단의 빠른 상용화를 골자로 한 모빌리티 산업 육성 방안을 25일 발표했다. 제조업 기반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된 제조 서비스 융합 형태로 ‘모빌리티 대전환’을 이뤄내겠다는 전략이다.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은 2017년 4400조 원에서 2030년 8700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왕윤종 인수위 경제2분과 인수위원은 브리핑에서 “자동차의 패러다임이 친환경·디지털로 전환되고 새로운 이동 수단이 대두되는 등 모빌리티 혁명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실현하는 핵심 축으로서 모빌리티를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운다”고 밝혔다. 인수위가 제시한 미래 운송 수단의 핵심 축은 자율주행차와 도심항공교통(UAM)이다.
인수위는 자율주행의 경우 2022년 조건부자율주행(레벨3),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 등 민간 기업의 핵심 기술 개발과 실증 사업을 지원하고 자율주행에 필요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및 정밀도로지도 등 첨단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UAM도 2025년 상용화하기로 했다. UAM은 도심 내 교통 체계가 도로·도시철도 등에서 항공으로 확장하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UAM이 드론 택시다. 국토교통부는 독일에서 제작한 2인승 드론 택시 볼로콥터(500㎏)로 시범 비행을 선보이기도 했다. 인수위는 UAM 실증과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민군 겸용 기체(AAV)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이착륙장(vertiport), 수도권 시범 공역, 관제 시스템 등 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왕 인수위원은 “특정 지역에서 관광이나 시범 사업 형태로 2025년 UAM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의 경우 부품 국산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공공기관 등에 구매목표제를 도입하고 충전소 설치도 확대해 민간 수요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업계를 위해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과 맞춤형 인증·검사·정비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스타트업 등 기업의 모빌리티 서비스 진출도 지원한다. 인수위는 교통 물류 빅데이터의 공개를 확대하고 전동킥보드 등 개인모빌리티(PM)의 활성화를 위해 안전 기준 마련, 부품 국산화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왕 인수위원은 “과거 공급자 관점에서 교통수단 노선을 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에서 다양한 수단을 어떻게 융합하고 편리성을 제공하느냐가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이라며 “이를 위해 윤석열 정부는 인프라를 깔고 3차원 공간 정보 빅데이터를 구축해 공공정보를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