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651억원, 영화관 ‘빅3’인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를 운영하는 영화관 3사가 2020·2021년 2년간 기록한 영업손실의 합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피해를 입은 산업 대부분은 대면이 필요한 업종인데, 영화산업이 대표적인 분야다.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의 대유행 동안 누적된 영업적자에 생존 여력이 없는 영화관업계가 버틸 수 있는 체력을 만들어줄 수 있는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에서는 지금도 지원 시점이 상당히 늦은 건 사실이지만 영화산업의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지금이라도 실질적 피해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호소한다.
1일 영화관업계 안팎의 설명을 종합하면, 정부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직접적 지원책 중 상당수가 극장을 비껴갔다. 정부 지원이 중소기업·소상공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대기업에 포함되는 영화관업계가 제외됐기 때문이다. 조성진 CJ CGV 전략지원담당은 “극장에서 지출하는 고정비 중 건물주에 지불하는 임대료의 비중이 가장 큰데, 소상공인 등에게 임대료를 낮춰줄 경우 인하 금액의 50%를 세액공제하는 제도도 적용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특히 직영점이 아니라 가맹점 형태로 운영하는 위탁점은 사실상 중소기업에 가깝지만 대기업 계열이라는 이유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영화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정책에 적극 협조했기에 피해를 입은 대기업에도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은 임대료·인건비·관리비 등 고정비용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지원을 비롯해 장기저리 대출 알선 등 금융지원, 영화상영업의 임대료 인하 유도 정책 대상 포함 등이다. 상영관 내 취식 금지, 거리두기 좌석 예매 등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의해 입은 추가적 손실에 대한 보전과 지원도 주장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주로 제작사 쪽에 지원되는 영화발전기금을 통해 영화관 매출 하락 변수 발생 시 재원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다만 이 경우 영화 제작 분야의 몫이 줄어드는 게 불가피하기 때문에 조율이 필요하다.
해외 주요국으로 눈을 돌리면 영화관업계에 대한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들이 보인다. 미국은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에 ‘극장을 구하라(Save Our Stages)’ 조항을 넣어 정부 기금 중 일부를 극장에 지원할 뿐 아니라 세금 환급 등 세제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영화관이 영업을 중단할 경우 이에 따른 매출 감소분의 일부를 보전하며, 영화관에 대한 직접적 보조수당 및 고정비용 보상을 특별지원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에서는 부가가치세와 문화산업건설비 등의 납부를 면제할 뿐 아니라 지방정부 중에선 보조금 지급은 물론 임대료를 면제하는 파격적 혜택을 제공하는 곳도 있다. 영국은 영국영화협회(BFI) 주도로 독립영화관 지원 기금과 영화관 방역 지원금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팬데믹의 장기화 속에서도 새로운 영화의 개봉을 유도하기 위해 극장이 제작·배급사를 대상으로 시행했던 매출 일부 보전 등의 인센티브 지원을 정부가 맡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하다고 일각에서는 말한다. 그간 새로운 작품들이 잇따라 개봉을 연기하고 이것이 다시 관객들의 외면을 불러온 악순환을 끊기 위한 조치다. 지난해 여름 시즌 극장들이 영화 ‘모가디슈’ ‘싱크홀’의 개봉 당시 제작비의 50%를 보전하는 조치를 취했고, 모두 손익분기점을 돌파했다. 하지만 지금은 극장도 여력이 없으니 이를 공공의 영역에서 대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