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해 계약학과 정원 확대와 함께 산업체 전문가를 교수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학사제도 유연화를 통해 단기간에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교육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인력양성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별팀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을 팀장으로 하고 교육부뿐 아니라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1급 공무원과 한국반도체산업협회·반도체 기업 등 기업계, 한국직업능력연구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이날 첫 회의에서 교육부는 관계 부처에 반도체 계약학과 규제를 풀고 제도 활성화를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 교육부는 현재 반도체 계약학과 입학정원의 20% 한도인 정원 외 선발을 50%로 늘리는 방안과 대학생들이 반도체와 관련된 학과를 복수전공과 부전공 등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학사제도를 유연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중 학사제도 유연화는 ‘마이크로 디그리(학점당 학위제)’를 이용해 지금도 충분히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반도체 관련 학과가 아니더라도 화학·기계·산업공학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반도체 관련 과목 2∼3개를 수강하면 학위를 주는 방식이다.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계약 기업이 직원을 재교육시키는 경우 인근 대학에서 하도록 한 권역 제한을 완화해 우수한 교수가 있는 대학에서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부족한 반도체 관련 교원 확보를 위해 현장 전문가를 교수로 초빙할 수 있도록 산업체 전문인력이 학교에서 교원으로 일한 후 다시 산업계로 자유롭게 복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교육부는 대학, 산업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범부처 협업을 통한 각종 제도와 사업 등을 활용해 다음 달 중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장 차관은 “교육부는 인재양성 협업 창구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교육개혁을 바탕으로 반도체 인재양성의 기반을 튼튼하게 마련하겠다”면서 “특별TF를 운영하면서 반도체 인재양성에 대한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소중한 제안을 적극 검토해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