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워 4000만 명 웨이보 계정 삭제, 그리고 이사직 사임.
당국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이견을 제시한 중국 부동산 재벌의 외아들이 경영권 승계까지 포기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중국 기업 정보 사이트 톈옌차에 따르면 완다그룹 회장 왕젠린의 아들인 왕쓰충(34)은 지난달 29일 자로 이사직을 내려놨다.
완다그룹은 아파트·쇼핑몰 등을 개발하는 종합 부동산 기업이자 중국 최대 영화관 체인인 완다시네마를 운영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기도하다.
지금은 중국 40위권 부호로 밀려나기는 했지만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마화텅 텐센트 창업자 같은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거부들이 등장하기 전 왕회장은 중국 최고를 넘어 아시아 최고 부호로 통했다.
외아들인 왕쓰충은 '완다 제국'의 유일한 후계자로 여겨졌다. 동시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를 즐기며 중국에서 온갖 논란을 몰고 다니는 '셀럽’이었다.
그런 왕쓰충이 완다그룹 이사직에서 물러났다는 소식은 중국에서 뜨거운 화제다.
회사 측이 왕쓰충의 이사직 사임을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중국 매체들은 이번 인사가 경영권 승계 포기 수순일 것이라는 추측성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사직 사임을 두고 그가 최근 당국의 방역 정책에 이견을 제기한 것과 관련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왕쓰충은 지난 4월 웨이보에서 상하이 봉쇄 당시 당국이 모든 가정에 돌렸던 중국 전통 약품 '롄화칭원'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방역 정책에 이견을 표출하는 글을 올렸다가 웨이보 측에게 ‘관련 규정을 위반했다’며 계정을 삭제당했다.
왕쓰충이 이번 일로 중국 당국의 눈 밖에 난 상태에서 그가 완다그룹을 이어받기에는 회사 차원에서 큰 부담이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 네티즌은 웨이보에서 "왕쓰충의 아버지는 아들을 보호하는 아버지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