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에 비해 온건노조로 평가받는 한국노총도 11월 전국노동자대회를 연다. 두 노총을 중심으로 노동계의 하반기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 집회가 줄줄이 예고됐다. 우려는 단순히 집회 수와 외형 보다 노사·노정 관계를 악화시키는 현안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다만 과거처럼 양대 노총이 세를 합쳐 투쟁 수위를 높이는 양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노총은 5일 중앙집행위원회와 회원대표자회의를 열고 11월5일 서울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참여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한국노총이 노동자대회를 여는 것은 2019년 이후 3년 만이다. 당시에는 3만여명이 참여했다. 한국노총 측은 "올해 하반기 3대 목표를 노동과 민생 안정, 반노동정책 및 일방적 구조조정 분쇄, 140만명 조합원의 단결로 정했다"며 "윤 정부에 노동자들의 강력한 경고 목소리를 내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의 대규모 집회는 이례적이다. 한국노총은 그동안 현안이 있을 때 소규모 집회나 기자회견, 토론회에 주력했다. 민주노총과 달리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하면서 노정 파트너로서도 역할을 해왔다.
민주노총은 예년처럼 올해도 투쟁 수위를 높인다. 9월과 11월에 대규모 대회를 열고 12월에도 대국회 집회를 계획 중이다. 민주노총은 현 정부 출범부터 반노동 정책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높여왔다. 올해 상반기 주요 집회에 수만명이 모이는 등 노동계 전면에서 대정부 항의를 이어왔다.
우려는 올해 하반기에도 노정이 갈등을 벌일 이슈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이후 국회까지 쟁점이 된 일명 노란봉투법 제정이 두드러진 이슈다.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시장 개혁 방향에 대한 노동계 반발도 만만치 않다. 중대재해법을 둘러싼 노동계와 경영계, 정부의 시각 차이도 여전하다. 화물연대 하이트진로 본사 점거와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조 단식 투쟁은 마무리되지 않았다. 여기에 공무원 사회의 임금인상 및 구조조정 철회 촉구와 건설업, 화물업 등 다양한 민간 현장에서 정부 대책을 촉구하는 거리 집회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양대 노총이 함께 대규모 집회를 여는 상황은 연출되지 않고 있다. 2016년에는 민주노총 총파업에 이어 양대 노총이 총파업 집회를 열었다. 당시 집회는 수만여명이 모였다. 이후 두 노총은 사실상 독자 투쟁을 이어온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기본적인 노동권 문제나 최근 공무원 구조조정 대책과 같이 일부 이슈에서 두 노총은 공동 집회나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