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경도인지장애가 뭐죠?" 치매 전단계 250만 인데…10명 중 6명은 용어도 몰라

대한치매학회, 기자간담회서 대국민인식조사 결과 공개

2021년 국내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수 67만 명 넘어

경도인지장애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며 254만 명 돌파

대한치매학회 양동원 이사장이 19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 중이다. 사진 제공=대한치매학회




성인 10명 중 6명은 치매 전단계를 지칭하는 ‘경도 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MCI)’에 대해 들어본 적조차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령화와 더불어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26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하는 추세지만, 국민들의 인지도는 턱없이 낮아 인식 개선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치매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소재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극복의 날 및 학회 설립 2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회에 따르면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수는 2021년 기준 67만 명을 넘어섰다. 2010년과 비교하면 10년새 약 3.2배 증가한 것이다. 치매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경도인지장애 환자 역시 꾸준히 증가하면서 254만 명을 넘었다.

경도인지장애는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지만 기억력을 포함한 기타 인지기능이 뚜렷하게 감퇴된 상태를 뜻한다. 아직 치매는 아니지만 한해 약 10~15%의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정상 노인의 경우 매년 1~2%만이 치매로 진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치매 위험이 10% 이상 높은 셈이다. 학회는 아직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알츠하이머 치매로 넘어가기 전부터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회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는 지난 2003년 이후 무려 18년 동안 신규 승인 사례가 없었을 정도로 신약 개발이 어렵다. 지난해 바이오젠의 '아두카누맙'이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았지만 효능 논란이 지속되고 있어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높다. 국내에선 그마저도 허가되지 않았는데 설상가상 도네페질, 아세틸엘카르니틴 등 치매 환자에게 처방되던 기존 약물의 적응증이 연달아 삭제되며 선택지가 더욱 줄어든 실정이다. 임재성 대한치매학회 홍보이사(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현재 활발히 개발 중인 2세대 항체 치료제들은 치료제들은 증상 완화가 아닌 병을 근본부터 치료하는 약으로, 주 치료대상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치매’ 환자들로 제한하고 있다"며 "향후 악화 가능성이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치매 치료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면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선별해 적극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치매학회 최호진 정책이사가 치매 친화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제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치매학회


하지만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매학회가 한국갤럽과 함께 지난 달 전국 17개 시도, 만 18세 이상의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8%가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도 없다'고 답했다. 그보다 많은 65%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었다.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지를 전혀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는 73%에 달했다. 또한 88%는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한지 몰랐다고 답해 인식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동원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은 "경도인지장애가 알츠하이머 치매로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계임에도 질병분류상 경증 질환으로 치부되고 있다"며 "중증화 가능성을 반영해 분류체계부터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증 질환이라는 오해 때문에 적절한 진단검사와 전문의료진에 의한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게 학회 측의 지적이다.

치매 환자가 늘어갈수록 우리 사회가 부담해야 할 치매 관리 비용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13년 11조 7000억 원이었으나 2060년에는 43조 2000억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학회는 치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사회적 비용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의료적 개입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치매 환자와 가족 모두 걱정 없는 ‘치매친화사회’ 구축을 위해서는 △치매예방 분야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민관 합동 치매 관리 체계 구축 △치매 고위험군 고령층 지원 확대 △치매 관련 산업 육성 등의 정책이 시급하다는 게 학회 측의 의견이다.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그동안의 정책적인 노력을 통해 치매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사회적 인프라는 갖춰졌지만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대응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며 “효율적 치매 관리를 위해 민간 영역의 참여 확대를 유도하고, 치매 전문가 육성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올해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대한치매학회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일상 회복을 위한 ‘일상예찬’ 캠페인을 12년째 운영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치매 질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공식 유튜브 채널 ‘기억을 부탁해’ 운영도 시작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