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문재인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두고 “이상론적이고 정부 만능주의적인 무리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원 장관은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조정해야 한다’는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지적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적정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상식적으로 시세는 늘 변동이 있고 소득과 금융 유동성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라며 “그때그때 시세에 맞춰서 (현실화율 90%로) 가겠다는 것 자체가 무리한 얘기”라고 말했다.
직전 정부인 문재인 정부는 2020년 11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발표하고,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의 과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을 2030년까지 시세의 9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같은 시기 진행된 공시가격 현실화 작업으로 인해 1주택자의 세금 부담이 지나치게 가중됐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원 장관은 “경제 세금이나 복지정책에 있어서 억울한 탈락자가 없도록 해야 하는데, 이런 문제가 심각하다”며 “지자체에 있을 때 문제를 제기했지만 무시 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지방과 수도권, 소득구간, 가액 구간에 따라 정교한 표가 짜여 있어 일률적으로 손을 대면 생각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일정 기준에 따라 현실화율 조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있지만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고 입법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