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 여파로 올해 3분기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실적이 일제히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주거용 건물 인허가 면적은 같은 기간 60% 가까이 급감하면서 주택 공급 ‘적신호’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3889만 4000㎡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했다. 동수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27.6% 줄어든 3만 9812동이다. 지역별 인허가 면적을 보면 수도권(1438만 4000㎡)은 전년 동기보다 34% 감소한 반면 지방(2450만 9000㎡)은 같은 기간 15.6% 증가했다. 시·도별로 부산(119%), 울산(64.6%), 강원(63.8%) 순으로 10개 시·도는 증가했고 인천(-55.9%), 서울(-45.2%), 충남(-34.7%) 등 7개 시·도는 감소했다.
용도별로는 교육 및 사회용(-36.6%), 기타(-21.5%), 상업용(-16%), 공업용(-9.2%)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반면 주거용(8.4%)은 늘었다. 하지만 주거용 건물 인허가 면적을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수도권(448만 8000㎡)은 전년 동기보다 28.8% 감소했으며 특히 서울(72만 5000㎡)은 무려 59.7% 급감했다. 지방(1142만㎡)은 같은 기간 36% 증가했다.
부동산 경기 선행지표로 꼽히는 인허가 면적이 크게 줄면서 빠르면 3년 뒤부터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최근 서울 집값 하락은 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인식 확산에 따른 일시적인 수요 감소에 의한 것이지 공급 과잉 때문은 아니다”라며 “현재 인허가 물량 감소는 앞으로 입주까지 걸리는 3~4년 뒤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 면적과 동수도 감소세를 보였다. 3분기 착공 면적(2839만㎡)은 전년 동기 대비 10.6%, 동수(3만 4255동)는 같은 기간 22.8% 각각 줄었다. 수도권(1348만㎡)은 1년 전보다 15.2%, 지방(1490만 9000㎡)은 같은 기간 5.9%씩 감소했다. 시·도별로 세종(-71%), 광주(-59.4%), 전남(-47.4%) 등 10개 시·도에서 착공 면적이 줄었다. 용도별로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19.7%), 공업용(-17.7%), 주거용(-11.4%) 위주로 감소하고 교육 및 사회용(6.4%), 기타(4.1%) 용도는 증가했다.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 면적은 지난해 3분기 대비 1.2% 감소한 2963만 6000㎡다. 동수는 같은 기간 10.4% 줄어든 3만 9163동이다. 수도권 준공 면적(1604만 4000㎡)은 1년 전보다 2.5% 늘어난 반면 지방(1359만 2000㎡)은 5.2% 줄었다. 세종(-81.1%), 경북(-48.3%), 전북(-30.9%) 등이 준공 면적 감소 폭이 컸다. 용도별로 교육 및 사회용(10.1%), 주거용(7.5%), 기타(4.7%)는 증가하고 상업용(-15.9%), 공업용(-7.3%)은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