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6일 강화도·김포 등을 거쳐 서울 북부 지역 등에까지 침투시킨 무인기들이 레이더 탐지망 등에서 소실됐으나 우리 군은 사라진 무인기들의 수색을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실된 무인기들이 모두 북한으로 귀환했는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추락 가능성은 없다고 보고 사실상 수거를 포기한 것이다.
27일 군에 따르면 전날 우리 영공을 침입한 북한의 무인기 5대 중 서울 북부 지역을 거쳐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넘어간 1대를 제외한 나머지 4대의 최종 행적은 묘연하다.
항적 소실 당시만 해도 우리 군은 바다 등에 추락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안부대 등을 통해 수색 작업을 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추락 잔해를 발견하지 못해 이후 더 이상 수색 작전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예비역 간부는 “무인기 수색 작전을 중단했다면 북측이 이번 도발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 우리 군이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고 우려했다.
만약 남침한 드론이 단순히 정찰이나 대남 교란을 노린 게 아니라 생화학테러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예행연습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익명을 요청한 한 국책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소형 드론이 탑재할 수 있는 무장이나 장비의 중량이 수㎏에서 많으면 수십 ㎏ 수준으로 낮기 때문에 (일반 폭탄 등의) 재래식 공격용으로는 효용성이 크지 않다”면서도 “극미량으로도 대량살상을 할 수 있는 생물학무기나 화학무기를 싣고 인구밀집지역이나 주요 시설에 살포한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의 생물학공격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2㎏의 탄저균 내성포자를 담은 수십 ㎏ 중량의 슬러리(걸쭉한 액체 상태)를 서울에 살포할 경우 항생제를 투여해도 10만 명에 육박하는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동참모본부는 앞으로 드론에 대응하기 위해 타격자산을 공세적으로 투입하겠다고 27일 밝혔다. 또한 다양한 능력의 ‘드론부대’를 조기에 창설해 적의 주요 군사시설을 감시 정찰하고 물리적 및 비물리적 타격자산, 스텔스무인기 등을 확보·통합 운용해 정찰을 비롯한 작전 능력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