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연중 서울 노원구 상계·중계·하계동 일대 지구단위계획 재수립에 착수해 노후 지역 내 정비사업 속도를 높인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에 따라 재건축 초기 단계인 안전진단 통과가 수월해지자 그 다음 단계인 정비계획 수립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발 먼저 움직이는 것이다. 정비계획의 경우 상위 계획인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방향이 결정되는 만큼 지구단위계획 재수립이 선행돼야 정비사업 추진이 원활해진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중 노원구 상계6~10동, 중계2·3동, 하계1·2동, 중계본1~4동, 하계1동 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시작할 예정이다. 3월부터 이들 지역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총괄할 마스터플래너(MP)를 선정한 뒤 용역을 발주해 내년 말까지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를 내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2023년 예산안에 ‘상계·중계·하계동 일대 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사업 예산을 13억 원 편성한 상태다.
1980년대 조성된 노원구 일대 택지개발지구 내 아파트 단지는 현재 대부분 준공 연한이 재건축 연한인 30년을 넘겼다. 상계주공아파트 21개 단지는 모두 연한을 초과했으며 중계·하계동 일대 중계2택지 18개 단지는 1990년대 초반 준공돼 연한 도래를 앞두고 있다. 노원구에서는 상계동을 중심으로 안전진단 등 재건축 초기 단계 진전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서울시가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에 나서는 것은 안전진단 통과 이후 재건축 사업 추진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다.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계획상 정비계획의 상위 개념으로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돼야 정비계획 수립이 쉬워진다. 목동 신시가지단지 일대의 경우 이 같은 이유로 지난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마쳤다. 서울시 관계자는 “노원구 일대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하는 것은 목동과 같이 정비사업 토대를 다지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전방위적인 재건축 규제 완화에 나서며 전국의 재건축 시계는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방안’에 따라 새로운 안전진단 기준이 시행된 첫날인 이달 5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미도 2차’는 관할 구청으로부터 안전진단 최종 통과 통보를 받았다. 도봉구도 창동 ‘상아1차’, 방학동 ‘신동아 1단지’, 쌍문동 ‘한양1차’의 재건축이 가능해졌다고 발표하는 등 관련 규정 완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수혜를 입는 단지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