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일본이 기업들의 ‘도미노 임금 인상’을 업고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 경제가 코로나19발 침체에서 조금씩 회복되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1년 넘게 급격히 오른 물가를 임금이 따라잡아 구매력을 키우는 것이 관건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8일 1월 소매 판매가 13조 150억 엔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11개월 연속 증가세인 데다 시장 예상치(4%)와 전월치(3.8%)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외국인 관광객의 회복과 식품 물가 상승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3월 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정책도 추가로 완화할 방침이다.
이처럼 관광 부문 수입이 반등한 데다 최근 패스트리테일링·도요타·닌텐도 등의 임금 인상 계획도 줄줄이 발표되며 개인소비 진작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실질임금이 전년 동월 대비 0.1% 올라 9개월 만에 처음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 결정적인 신호로 꼽혔다. 41년래 최대 폭으로 오른 고물가를 상쇄할 만큼 기업들이 임금을 대폭 인상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1.1%에서 1.5%로 올려 잡았다. 2021년(2.1%)과 지난해(1.1%)에 이어 3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예상하는 것이다. 1월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올해 일본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 물가 상승세와 둔화한 경제성장률 등을 근거로 저성장 탈출이 요원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발표된 일본의 1월 산업생산 역시 -4.6%로 8개월래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찬물을 끼얹었다. 로이터통신은 “해외 수요의 감소가 자동차, 반도체 장비 등 주요 산업에 타격을 입혔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토추경제연구소의 다케다 아쓰시 이코노미스트는 “약한 수출용 생산과 소비 회복은 앞으로도 주요한 일본 경제의 초점이 될 것”이라며 “일본은행의 새 지도부가 불확실성 속에서 통화정책을 조정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