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19일 한일정상회담 성과에 대해 “한일관계에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일정상회담 후속조치에 대해서도 “정부 각 부처에서 다양한 교류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대변인은 “앞으로 (한일) 정치권의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여당 의원들의 방일이 예정돼있고 야당 의원들도 이에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한일 경제 협력 강화가 기대되고 양국 청년 세대의 교류 확대 방안 역시 곧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이번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1박 2일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한일관계에서 한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물론 아소 다로 자민당 부총재 등 방일 기간 중 만난 일본 정치지도자들 대부분이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했다”며 “기시다 총리가 적절하게 호응하면 한일 양국이 국제사회에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대변인은 한일정상회담을 ‘굴종외교’라고 비판하는 야권을 향해 “역사와 국제질서 변화의 큰 흐름은 읽지 않고 지엽적인 문제만 제기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 대변인은 “(야권의 반응이) 아쉽고 실망스럽다”며 “과도한 용어를 동원해 정치적 쟁점만 만드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국민들도 생각하며 지성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해 비판해주면 생산적인 논의가 될 것”이고 말했다.
한편 한일정상회담 과정에서 일본 측이 위안부 합의·독도 영유권·후쿠시마 오염수 배출 문제 등을 언급했다는 주장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위안부 합의와 독도 영유권 문제는) 논의된 적 없다고 명확하게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상회담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모두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오염수 배출 문제는) 정부의 원칙이 있다. 과학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이 명확하게 확인된 이후 논의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