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지침에 따라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16개 전기차 차종을 공개했다.
북미산 조건에 이어 배터리 요건이 추가되면서 대상 차종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테슬라는 모델 3, 모델 Y 등이 모두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돼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 독주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의 경우 미국 앨라배마 공장 생산되는 GV70이 북미산 조건을 충족했으나 배터리가 중국산이라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됐다.
17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보조금 지급 대상 전기차에는 테슬라 모델3와 모델Y를 비롯해 캐딜락 리릭, 쉐보레 볼트, 이쿼녹스, 실버라도 포드 E-트랜짓, 머스탱 마하 E, F-150 라이트 등 미국 완성차 기업들 차량 만이 포함됐다.
앞서 북미산 조건을 충족하는 전기차 차종은 40개가 넘었으나 배터리 요건이 포함되면서 대상 차종이 크게 줄었다. 미국 정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IRA 세부지침에 따르면 북미산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북미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을 50% 사용 하거나(3,750달러) 미국이나 FTA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광물을 40% 이상 사용해야(3,750달러) 올해 총 7,500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IRA 세부 지침에 따라 미국 브랜드를 제외한 모든 해외 브랜드 전기차들이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면서 “전기차 시장의 최강자인 테슬라가 가격 경쟁력까지 높아지면서 테슬라의 시장 지배력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내 전기차 판매 확대에 주력해온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기존 앨라배마주 공장과 조지아주 공장의 전기차 추가 생산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GV70 배터리를 북미산으로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불리한 영업 환경인 것은 사실이나, 배터리 조건이 엄격해지면서 다른 해외 브랜드들도 모두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것은 일부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