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저이용 및 미활용되고 있는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부지 이용 방안 찾기에 나선다.
21일 시는 ‘저이용 도시계획시설 복합개발 실행방안 수립’ 용역을 착수했다고 밝혔다. 도심 내 신규 개발 가용지가 한계에 도달한 만큼, 시 전체 면적의 46%를 차지하는 도시계획시설의 잠재력을 활용해 새로운 미래 공간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용역을 통해 검토할 대상지는 기존 5000㎡ 이상 저이용·미활용 도시계획시설이다. 시가 사전에 선별한 △서초동 남부터미널 부지 △중계동 368일원 미조성 나대지 △신내동 KT신내지점 △우면동 한국교육개발원 이전 부지 △등촌동 681-2 미조성나대지 △진관동 은평노인종합복지관 등 6개소를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지난달 자치구에서 신청받은 대상지 등을 검토해 추가로 2개소 내외를 발굴하며,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추가 검토 대상지를 선정한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지역 특성 및 여건에 맞는 복합개발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미래지향적 용도 도입 등을 통해 시민의 삶에 필요한 공간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대상지 도시계획시설 부지에 대해 공공과 민간이 상생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 도시계획시설의 입체 복합화를 유도한다. 타당성 분석 등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전제로 대상지별 적정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며 전문가 자문단 운영 및 다양한 주체와 협업도 한다. 이 밖에도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개발 적용을 위한 제도 검토를 통해 기존 입체복합개발 제도·운영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제도 개선방안도 제시한다. 용역 결과는 내년 중 나올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새롭게 활용 가능한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세세히 살펴볼 것”이라며 “도시계획시설의 재구조화를 통해 시민 삶에 필요한 미래 도시활동 거점 공간을 창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