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을 공격적으로 쓸어 담았던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올해도 같은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23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 세계 83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한 ‘HSBC 외환보유액 관리 동향’ 여론조사에서 올해 중앙은행들이 금 보유량을 늘릴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가 3분의 2 이상에 달했다. 83개 중앙은행이 굴리는 외화 자산은 총 7조 달러(약 9355조 원)에 이른다.
이는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HSBC 조사에서도 응답자들은 고물가 다음의 걱정거리로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다. 지정학적 리스크를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꼽은 응답자는 전체의 40% 이상으로 지난해(23%) 대비 크게 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 간 갈등도 고조되면서 일단 금 보유량을 늘려 만일에 대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는 지난해부터 빠르게 늘고 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은행들이 매입한 금은 1136톤으로 1년 전보다 152%나 폭증했다. 특히 지난해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세는 비서구권 국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해 11~12월 총 62톤을 매입해 사상 처음으로 총보유량이 2000톤을 넘었다. 튀르키예의 공식 금 보유량은 지난해 148톤 늘어난 542톤에 이르렀고 중동과 중앙아시아 국가들도 적극적으로 금을 사들였다.
존 리드 WGC 수석전략가는 “러시아 중앙은행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많은 비서구권 국가들이 금을 어디에 보유해야 하는지 다시 생각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서방은 대러 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 중앙은행의 보유 자산을 동결했다. 하지만 금은 러시아 국내에 비축돼 있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제재 범위에 속하지 않았다. 이를 지켜본 비서구권 국가들이 금 보유량을 늘려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대다수가 향후 10년간 중앙은행이 보유한 준비금 중 위안화의 비중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4분기 현재 전체 중앙은행 준비금 중 달러화가 58%, 유로화가 20%를 차지했으며 위안화는 2.7%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