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결제 639,900원 결제 완료, 아닐 시 고객센터 신고 070-0000-0000’ ‘○○○님 결혼 청첩장, 택배 미수령 확인 요망’
미끼 문자를 이용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시나리오가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는 만큼 모르는 전화·문자·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 257억 원(1024건)이었던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월 343억 원(1504건), 3월 380억 원(1751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같은 기간 전년대비 증가율은 30여% 줄었다.
통상적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의 70~80%는 대출 사기형이었지만 최근에는 기관사칭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3월 기준 총 1751건 피해 중 기관사칭형은 1108건으로 전체의 63%에 달했다.
미끼 문자를 활용하는 갓이 가장 대표적인 기관사칭형 범죄 수법이다.
보이스피싱 일당은 ‘해외 쇼핑 562,000원 결제 완료, 세탁건조기 1,300,000원 결제’ ‘택배 미수령 확인 요망’ 등 피해자가 혹하기 쉬운 문자를 보내 전화를 유도한다. 문자에는 회신받을 전화번호 또는 카카오톡, 인터넷주소(URL) 주소가 기재돼 있다.
피해자가 확인을 위해 전화를 하면 일당은 금융감독원과 검찰을 사칭한 뒤 ‘명의도용·자금세탁’이 됐다며 협박을 시작한다.
URL 등을 클릭하면 악성 앱이 설치되고 일당은 피해자의 이름과 직장 등 개인정보를 확보해 검찰수사관을 사칭해 사기를 친다.
최근에는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가상자산으로 피해자의 돈을 가로채는 수법까지 등장했다. 일당은 피해자가 인터넷은행 계좌, 가상자산 거래소 계정 등을 개설하게 한 뒤 돈을 입금하면
원격조종앱을 활용해 가상자산을 구매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핵심 개인정보를 입수해 일회성·맞춤형 범죄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의 70대 조합원이 분담금과 입주 옵션비를 내라는 보이스피싱 사기를 당했다. 용의자는 통신회사 직원을 사칭해 조합사무실에 전화한 뒤 “통신장애가 발생했다”며 다른전화번호 착신을 유도했다. 조합원들이 조합사무실에 건 전화는 용의자에게 연결됐고, 피해 조합원은 분담금과 옵션비 명목으로 1500만 원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경찰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대출사기형과 기관사칭형 등 2가지 동영상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