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등 신흥시장 투자가들이 글로벌 긴축 기조가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기대감에 채권에서 주식으로 자금을 대거 옮겨 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날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주일간 신흥시장 주식시장에 41억 달러(약 5조 3500억 원)가 유입됐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달 초부터 이어졌다. 지난달 신흥시장 자산에 유입된 자본은 5.5% 증가해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올해 신흥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졌던 현지 통화 채권이 이제 주식과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됐다”고 전했다.
신흥국 증시는 글로벌 자금을 대거 흡수하며 높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시장(EM)지수는 6% 가까이 오르며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반면 달러 및 현지 통화 EM채권지수는 같은 기간 2%도 오르지 못했다. 이 기간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가들은 신흥시장 주식 ETF에 26억 1000만 달러를 쏟아부은 반면 채권에는 2억 69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향후 인도를 중심으로 한 신흥경제권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 역시 투자 자금을 끌어당기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국들은 향후 3년간 선진국 대비 3%포인트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투자 업체 루이스세일즈의 아시시 쿠그 자산관리책임자는 “(신흥국) 증시 실적의 주요 동인은 인도·인도네시아·브라질 등의 거시경제 환경이 호의적이며 소비 및 투자 강세로 이익이 크게 성장한 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글로벌투자가들의 현금 동원력이 강해진 점을 고려할 때 신흥시장 주식 투자가 앞으로 더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GW&K투자관리에 따르면 글로벌투자가들은 지난해 5조 7000억 달러 규모를 매각해 6000억 달러 가까이 신흥시장에 투자할 여력이 있는 상황이다. 신흥시장 전문 조사 업체 텔리머의 하스나인 말리크 전략가는 “특히 미국의 연착륙은 대만·한국 등 수출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거대 신흥시장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