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남길에게 '도적: 칼의 소리'는 책임감이다. 무거운 시대 배경을 전달하는 것, 화려한 총기 액션을 자연스럽게 선보이는 것이 숙제로 다가갔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도젹: 칼의 소리'(극본 한정훈/연출 황준혁/이하 '도적')는 1920년 중국의 땅, 일본의 돈, 조선의 사람이 모여든 무법천지의 땅 간도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하나 된 이들이 벌이는 액션 활극다. 김남길이 연기한 이윤은 노비 출신의 일본군이었지만 이제 간도에서 살아가는 도적단을 이끄는 인물이다. 혈혈단신으로 포병대 하나를 박살 낸 전적이 있을 만큼 싸움과 총기 사용에 능하다.
작품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로 고통받는 조선의 아픈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무겁고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시대는 김남길을 책임감으로 이끌었다. 그는 고통받는 인물들은 물론, 평펌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고 말했다.
"주권을 뺏기고 독립운동을 하는 역사적인 사건이 있는 시기죠. 그런데 너무 무겁게만 가지 않으려고 했어요. 모든 사람들이 독립운동을 하고 있었던 건 아니잖아요. 선봉장에 서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등떠밀려 그 시대에 합류한 사람들도 있어요. 여러 인간 군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좋았습니다. 캐릭터 대부분 가족들과 함께 살기 위해 싸우지,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우지 않아요. 책임감은 갖고 임하되, 관통하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죠."
"누구나 다 자기 사람들을 챙기고 싶어 하잖아요. 이윤은 과오를 껶었기 때문에 더 그쪽으로 집착하는 면이 있죠. 이윤은 명령만 듣고, 옳고 그름이 뭔지 알 필요도 없는 시대에 살았어요. 그걸 이해해주고 받아들여 주는 사람이 있으니 성장하려고 하죠. 그런 것 때문에 조선 사람을 살리기 보다 지금 소중한 사람들에게 집착하게 돼요."
장르적으로는 한국형 웨스턴 무비를 표방하고 있다. 그 속에 1920년대 아시아적인 배경인 간도가 등장하는 게 작품의 신선한 점이다. 간도는 중국의 황야이며 일본 사람들과 조선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중간에 있는 지점이다. 웨스턴 무비의 색채보다 시대적 배경이 더욱 강하다는 게 김남길의 설명이다.
"웨스턴 무비를 표방한다고 하는 게 맞는 말이죠. 원조를 따라하거나 닮고 싶은 게 아니라 근대사회로 넘어가는 중간 지점인 1920년대를 더 보여주고 싶었어요. 아시아 지역에도 이런 삶이 있었을 텐데 보여주지 않은 것 같았죠. 예전에 웨스턴 무비에 대한 것들을 본 기억을 갖고 레퍼런스를 조금씩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관련기사
다양한 액션은 작품의 볼거리를 만든다. 그중 화려하게 총을 돌리는 이윤의 액션은 단연 눈에 띄는 부분이다. 김남길은 이윤의 액션에 대해 일본군인 시절 갖고 있는 액션을 정갈하게 보여주는 거라고 말했다. 군인 출신이기에 응용 가능한 무기 대부분을 잘 다룬다고. 일본군 시절 만행을 후회한 이후의 이윤은 살생을 피하고 방어 자세를 취하는 게 특징이다.
"감독님이 웨스턴 무비에서 기술적으로 액션이 들어가는 장면의 자료들을 많이 줬어요. 당시 티빙 '아일랜드' 촬영차 제주도에 머물고 있었는데, '아이들랜드'에서 칼을 돌리는 걸 많이 하고 있었죠. 그 지점에 착안해서 매일 총을 돌리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어려웠는데, 2~3개월 돌리기까 익숙해지고 자연스럽고 붙더라고요. 이윤이 총을 돌리는 건 순전히 멋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액션에 대한 디자인을 신마다 다르게 했어요. 각 액션에 감정을 다르게 표현하고 싶었던 거죠. 도적단을 상대로 액션을 한 건 롱테이크로 했는데, 이윤의 과오에 대한 반성, 총과 칼을 들 수밖에 없는 회의감이 쭉 이어지면서 감정을 전달하고 싶었습니다. 이후에 도적단과 함께하는 액션에서는 누구하나 튀어 보이지 않으려고 했어요. 밸런스 조절을 한 거죠. 언년이(이호정)와는 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 콘셉트를 가져와서 액션을 구성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