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 노조가 다시 파업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번에는 준공영제(공공관리제) 전면 시행 시기를 놓고 경기도와 빚어지는 갈등이 배경이다.
2일 버스 노동자 단체인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에 따르면 협의회는 지난달 22일 진행된 4차 단체교섭에서 임금 수준 및 근로조건을 놓고 사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최종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협의회는 오는 10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내고 오는 13일에는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일 예정이다. 지노위의 조정 기간은 15일간으로, 파업 찬반투표가 찬성으로 가결되고 오는 25일까지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달 26일을 기해 버스 파업이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
협의회에는 민영제와 준공영제 노선을 운행하는 도내 47개 지부의 조합원 1만75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협의회 소속은 아니지만 수원에서 서울로 오가는 광역버스 160여 대를 운행하는 경진여객 역시 마찬가지로 파업 절차를 밟고 있어서 같은 시기 연대 파업할 가능성도 있다.
버스 노사의 갈등은 경기도의 준공영제 전면 도입 시기가 번복되면서 발생했다. 당초 지난해 9월 파업 여부를 놓고 협의회와 사측이 최종 교섭을 벌일 당시, 김동연 경기지사는 협상장을 직접 방문해 임기 내에 준공영제를 전 노선을 대상으로 실시해 타 수도권 지역과의 임금 격차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노조는 한발 물러섰고 파업은 철회됐다.
하지만 도는 지난 8월 9일 협의회 차원의 전원회의에서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일반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한 준공영제 도입을 김 지사 임기 내가 아닌 2027년까지로 미룬다고 발표했다.
협의회는 이러한 도의 결정에 격양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2027년 시행도 장담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사측은 협의회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과 근무조건 개선을 위해선 준공영제 도입을 통한 도의 운영비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노조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고 있어 갈등은 더 커지는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