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안전 규제를 두고 주요 국가 정상들이 첫 합의를 이끌어냈다. AI 출시 전 안전성을 우선 시험해 개인정보 침해, 보안 위험 등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다. 미래 AI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한 이번 합의에서는 중국이 배제됐으나 한국은 내년 ‘미니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돼 AI 선도 국가로 위상을 다지게 됐다.
2일(현지 시간) 영국에서 열린 제1회 AI 안전정상회의(AI Safety Summit)에서 참여국 정상들은 ‘블레츨리 선언’을 발표했다. 선언은 “AI는 안전하게 설계·개발·배포 및 사용돼야 한다”며 “AI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위험이 국제적인 성격을 띠는 만큼 광범위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을 촉진할 것을 결의한다”고 규정했다.
회의에는 한국과 미국·영국·일본을 비롯해 유럽연합(EU) 국가 등 총 28개국 대표단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AI 기업 대표들이 동참했다. 챗GPT 등 생성형 AI가 빠르게 발달하며 보안 위험성을 공동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데 따라 국제사회가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 것이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회의 종료 후 기자회견에서 “뜻을 같이하는 국가·기업들과 AI 기업이 기념비적 합의에 이르렀다”며 “새로운 AI 모델이 출시되기 전에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선언은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조치인 동시에 향후 AI 개발 주도권을 쥐기 위한 각국 ‘눈치 싸움’의 결과이기도 하다. 미국과 유럽은 생성형 AI 대두 이후 규제 방향성에 대해 이견을 보여왔다. 유럽은 강력한 개인정보 규제로 AI 주요 기업들을 다수 보유한 미국을 견제하고자 했다. 이에 영국이 ‘중재자’ 역할을 자처해 미국과 EU·한일 등 주요국과 합의를 이끌어냈다.
문제는 중국이다. 중국은 이번 회의에 우자오후이 과학기술부 차관을 파견했고 블레츨리 선언에도 서명했다. 그러나 영국은 미중 갈등을 우려해 둘째 날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 소그룹 논의에서 중국을 배제했다. 중국은 선언의 핵심 사항인 ‘AI 제품 안전성 검사’에도 합의하지 않았다. 강제성이 없는 선언에만 동참하고 중국을 겨냥한 규제에서는 발을 뺀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화상으로 회의에 참여한 한국은 ‘미니 정상회의 개최’라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