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수 마포구청장이 기존 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개보수를 통해 서울의 쓰레기 소각량을 늘릴 수 있다며 서울시에 소각장 신설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박 구청장은 24일 마포구청에서 쓰레기 소각장 신설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에 대안을 제시했다.
2022년 8월 서울시가 신규 소각장 입지 후보지를 마포구 상암동으로 발표하면서 두 기관 간 갈등이 이어져왔다. 구는 2005년 난지도 인근에 750톤 규모의 소각장이 들어섰는데 또 1000톤 규모로 소각장을 추가해 짓는다며 여섯 번째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 구청장은 소각장 결정 고시 이후 서울시에 소각장 추가 설치 과정의 부당성과 토양오염 문제를 제기하고 재활용 시설 확대와 종량제 봉투 가격 현실화 등 대안을 제시했지만 시가 대화에 나서지 않았다며 반발하고 있다. 그는 “선정 입지는 서울시 땅인 데다 이미 소각장이 있어 (선정 배점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져 있었다”며 “해당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던 수소 체험 박물관은 뚜렷한 사유 없이 철회되는 등 답이 정해져 있었다는 의혹을 지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는 만큼 내년 소각장 건립에 착수해 2026년 11월 완공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직매립 금지로 추가로 소각해야 할 쓰레기 양은 하루 평균 1000톤이 아닌 774톤으로 추산되므로 기존 4개의 소각장 시설 개보수로 극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조 원의 예산을 아낄 수 있다는 것이 마포구의 입장이다.
박 구청장은 “환경부 자료를 분석하면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는 2026년 하루 평균 744톤의 소각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4개 소각장의 시설 개선을 통해 충분히 처리 가능한 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마포·강남·양천·노원 소각장 가동률은 79.82%에 그치고 있다”며 “시설 개선으로 4개 소각장에서 하루 575톤의 추가 소각이 가능해지고 여기서 처리 못하는 169톤 규모는 분리 배출 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기자회견 직후 입장문에서 “최근 5년간 생활 폐기물 매입량은 일평균 900톤으로 2026년 직매립 금지까지 고려할 때 1000톤 처리가 가능한 시설의 건립이 필수적”이라며 “감사원 공익 감사 등을 통해 입지 선정 절차에 위법 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