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전 세계 국가들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해 운영하려고 시도하는 만큼 자사 제품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AI 붐을 타고 주목 받은 기업들이 작년 4분기 시장의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올린 가운데 엔비디아는 AI를 통해 상당한 매출 성장세를 보여준 유일한 기업으로 평가 받는다.
황 CEO는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인도·일본·프랑스·캐나다 등 주요 국가들이 ‘AI 주권 역량’을 확보하려는 투자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각국의 기본적 데이터는 그 나라에서 정제되고 생산돼야 할 자산”이라며 “AI 주권을 확보할 수 있느냐에 대한 인식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황 CEO가 몇 달 전부터 각국과 기업들이 중요 데이터와 거기서 추출할 수 있는 정보 자산을 자국에 둬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고 전했다. 이 경우 각국마다 데이터센터를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엔비디아의 노하우와 AI칩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는 계산이다. 그는 “컴퓨팅 시장은 미국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국이 훨씬 적은 비중으로 그 다음에 있다”며 “생성형 AI 컴퓨터 기술은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치며, 이 시장은 매우 크고 전 세계적인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캐나다에서 경험을 들려주며 각국의 AI 인프라에 대한 관심을 전했다. 캐나다에는 오픈AI의 챗GPT 같은 생성형 AI 시스템을 혁신하는데 기여한 학술기관이 있으며, 이 기관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기 위해 슈퍼컴퓨터의 필요성을 더 느낀다는 설명이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제조사 중 시가총액 세계 1위로, 작년 매출이 2배 늘어난 것으로 시장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아마존닷컴,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들을 고객사로 둔 덕이다. 월가에서는 엔비디아가 AI를 통해 상당한 매출 성장을 보여준 유일한 기술 기업으로, AI 붐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평가한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가 제품 수요 급증으로 이르면 2025년에 반도체 업계에서 최대 매출 기업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