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이 정도일 줄은…” 페트병 당장 멀리 해야 할 이유[헬시타임]

일상생활 속 건강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혈관 통해 폐·뇌·태반 등 생식기관에도 침투

동물실험 결과 생식능력 저하 영향도 입증

이미지투데이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백해무익하다는 건 누구나 알만한 사실이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플라스틱 병에 담긴 생수를 마시는 과정에서도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수 있으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인식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최근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수 1리터당 플라스틱 입자 24만 개가 검출됐다. 물을 여과하는 과정, 물을 생수병에 담는 과정, 생수 병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라인마인응용과학대학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도 이와 유사하다. 생수병 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회 개봉할 때 리터 당 131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MPP)가 검출됐지만, 11번 여닫은 후에는 2배가량 높은 242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된 것이다. 이탈리아 밀라노대학 연구팀도 생수병 뚜껑을 여닫는 횟수가 많을수록 미세플라스틱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뚜껑과 병목 부분이 마모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생수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세안제, 치약, 의약품, 세탁세제 등에 사용하는 작은 플라스틱 알갱이인 마이크로비드(microbead)는 이제 통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하수구로 버려져 해양오염에 원인이 된다. 물고기를 통해 다시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다. 일주일에 신용 카드 한 장 정도의 플라스틱을 먹는다는 사실은 이미 학계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과학의 발달로 마이크로미터(μm)보다 작은 나노미터(nm)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검출할 수 있게 된 것도 미세플라스틱 입자 검출율을 키우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국 컬럼비아대학 연구팀에서 분석한 플라스틱 입자 24만 개 중 나노 플라스틱은 90%에 달했다. 보통 미세플라스틱은 5mm~1μm 정도이며, 나노 플라스틱은 1μm(1000 나노미터)보다 작은 크기를 말한다. 1nm(나노미터)는 1μm(마이크로미터)의 1/1000 크기다.

김영아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세플라스틱은 몸속에 들어오기 전에 걸러지거나 몸 밖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지만 나노 플라스틱은 DNA 크기 정도로 작기 때문에 우리 몸 어디든지 침투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입자가 작은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통해 폐와 뇌, 태반, 모유, 고환(정자)에서 검출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고 말했다.

미세플라스틱은 구체적으로 인체에 어떤 해악을 끼칠까. WHO(세계보건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3가지로 설명했다. 첫째, 미세플라스틱 그 자체로 해롭다. 미세플라스틱이 몸속 장기에 붙어 이물질로 존재하면서 장기적으로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WHO의 지적이다. 가벼운 질병부터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이르기까지 염증반응은 모든 병의 기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둘째, 플라스틱 가공을 위해 사용하는 비스페놀A나 프탈레이트 같은 화학성분(가소제)이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다니다가 미세한 크기로 분해되면서 첨가됐던 가소제들이 함께 나온다. 이 때 환경호르몬 같은 여러 독성물질이 배출된다. 중금속과 같은 독성물질이 미세플라스틱과 흡착해 몸속으로 들어올 확률도 높다. 셋째, 미세플라스틱은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 성질을 갖기 때문에 미생물이 잘 달라붙는다. 미세플라스틱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감염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미세플라스틱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화학물질과 미생물이 합쳐져 몸속으로 들어올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여성의 경우 혈관이 많은 자궁이나 난소 같은 생식기관에 침투해 생식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세플라스틱이 여성에게 더욱 해롭다는 사실을 입증한 동물실험 결과도 나와 있다. 2022년 중국농업대학교 연구팀이 암컷 생쥐에게 35일간 미세플라스틱(폴리스티렌)을 노출시킨 후 검사한 결과 혈액에서 폴리스티렌 농도가 135.86으로 가장 높게 검출됐다. 다음으로 △비장(106.31) △폐(103.70) △신장(81.56) △간(69.86) △난소(62.60) △소장(53.44) △△심장(45.35) △자궁(32.79 △뇌(27.78) △대장(9.95) 순으로 농도가 높았다. 같은 연구에서 미세플라스틱 노출군과 비노출군을 비교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 노출군에서 배란된 난자의 숫자, 난자 성숙도, 난모세포 생존율 등도 더 낮았다.

30일간 미세플라스틱을 노출시킨 쥐 실험에서도 배란되는 난자 세포가 유의미하게 더 많이 죽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정률, 배아발달,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DNA도 손상도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은 임신부 뿐 아니라 아이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중국 서북농림 과기대학 연구팀이 미세플라스틱을 임신한 쥐에게 먹인 결과, 태어난 새끼 쥐에서 저체중 현상이 나타났다. 또 임신 중 엄마 뱃속에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쥐 역시 난자 성숙이 떨어지고, 수정률과 배아 발달도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중국의 또 다른 연구에서 전자현미경으로 산모의 태반을 관찰한 결과, 태반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타고 조직 어디든 투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조산아들의 양수를 조사한 연구도 있다. 양수는 쉽게 말해 엄마 배 속에 아이가 떠 있는 물이다. 28주 이후에는 양수의 주성분은 아이의 소변이다. 그 양수를 조사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이는 엄마 태반과 탯줄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아이에게 전달됐다는 걸 의미한다.

김 교수는 “여러 연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여성 건강, 특히 생식능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미세플라스틱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어디든 존재하고 함께 생활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지만 과학적인 접근과 집단지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세플라스틱을 줄이려면 정부와 과학기술 협의체의 논의를 통해 정책을 만들고 기업은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같은 신소재나 새로운 가소제를 개발하는 등 협력이 필요하다”며 “개인 차원에서도 자신의 건강과 지구 환경을 위해 종이컵이나 생수병, 물티슈 같은 일회용품 사용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