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실장 5수석’ 체제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이 ‘3실장 7수석’ 체제로 확대 개편될 전망이다. 정권 초 ‘슬림화 기조’를 표방했지만 지난 2년간 정책 역량 강화, 현안 대응에 목적을 둔 조직 보강이 이뤄지면서 이전 정권 수준으로 몸집이 커졌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조만간 민심을 청취하고 분석할 ‘민정수석실’ 부활을 단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은 현재 ‘3실장(비서실·정책실·국가안보실) 6수석(정무·홍보·시민사회·경제·사회·과학기술)’ 체제에서 ‘3실장 7수석’ 체제로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국가안보실 산하의 수석급인 ‘차장’을 포함하면 수석급 인사는 총 10명에 이른다.
‘민정수석실 폐지’는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지만 4·10 총선 이후 ‘각종 현안에 대한 민심 정보가 부족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부활시키기로 방침을 정했다. 민정수석실은 현재 비서실장 직속으로 있는 법률비서관, 공직기강비서관실이 배치되고 민심 청취 기능을 하는 새 비서관실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임 정무수석으로는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 등 검사 출신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한때 폐지설이 제기됐던 시민사회수석실은 존치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민정수석실 설치로 ‘작지만 민첩한 조직’을 표방한 대통령실의 슬림화 기조가 무색해졌단 평가가 나온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행정부가 핵심적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은 조율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뜻을 반영해 대통령실은 ‘2실장(비서실·국가안보실) 5수석(정무·홍보·시민사회·경제·사회)’ 체제로 출발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의 ‘3실장 8수석’ 체제에서 정책실과 민정·일자리·인사수석을 폐지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이다.
하지만 지난 2년간 조직 개편이 연달아 진행되면서 몸집이 불어났다. 2022년 8월 윤 대통령은 부처 간 정책 조정을 담당하는 ‘정책기획수석’을 신설해 ‘2실장 5수석’에서 ‘2실장 6수석’으로 확대됐다. 작년 11월 말 ‘용산 2기’ 진용을 꾸리면서 윤 대통령은 정책기획수석(국정기획수석)을 없애고 ‘3실장 6수석’ 체제로 전환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정책 추진의 속도감을 높이기 위해 정부 출범 1년 만에 정책실을 부활시키고, 그 산하에 과학기술수석 자리를 새로 만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올해 초 국가안보실 산하에 공급망 리스크 등 경제안보 현안을 전담하는 3차장 자리를 신설하면서 국가안보실 또한 ‘1실장 2차장’에서 ‘1실장 3차장’ 체제로 확대된 바 있다.
대통령실도 이런 비판이 부담이 되지만 조직을 보강해 ‘일하는 정부’로 역할을 빈틈없이 수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인력 규모가 줄면서 ‘각 부처의 업무를 뒷받침하기엔 손이 턱없이 모자란다’는 내부 어려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을 맞는 오는 10일 전 민정수석 신설 및 인선안을 발표할 전망이다.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3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정수석실 설치와 관련해 “방향은 맞다”며 “명칭은 ‘민정’ ‘민생’ ‘민정소통’ 등 버전이 있다. 윤 대통령이 최종 결심을 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