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정부 부채가 급증하면서 글로벌 부채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불어났다. 올해 미국을 비롯해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선거를 맞아 선심성 재정 공약을 쏟아내는 ‘선거노믹스(electionomics·일렉셔노믹스)’ 영향으로 전세계 빚 규모는 천문학적 수준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현지 시간) 국제금융협회(IIF)가 내놓은 글로벌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 부채는 315조 달러(약 43경 4700조 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CNBC는 “세계 부채는 2차 대전 이후 가장 크고,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쟁적으로 돈 풀기에 나선 각국 정부가 이 같은 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가계와 기업 부채는 1년 전보다 각각 9000억 달러, 1조 5000억 달러 늘어난 반면 글로벌 정부 부채는 5조 달러 급증했다. 지난 1년간 전체 부채 증가액(8조 1000억 달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에서 정부 부채가 급증하는 양상이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 정부 부채(D2)는 지난 1년간 약 3조 달러 가까이 늘었다. 국내총생산(GDP) 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23%다. 중국의 부채 증가 속도도 심상찮다. 중국 국가금융발전실험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의 GDP 대비 총부채(정부, 비금융 기업, 가계의 부채를 합산) 비율은 287.1%에 이르렀다. 전년 대비 13.5%포인트나 급증했다.
한국의 부채 상황도 안심할 수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만 해도 42.1%에 머물렀던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증해 2021년에는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는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2030년께 70%에 이어 2050년께 12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부채 증가세는 미국 대선 등 각국에서 펼쳐질 정치 이벤트로 인해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IIF는 앞서 “선거가 포퓰리즘 정책으로 이어질 경우 정부 차입은 늘어나고 재정 관리는 느슨해질 것”이라며 “이미 높은 수준의 정부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