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 중 상당수가 만 7세가 지나서야 수어를 처음 접하거나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중에서는 친구, 선후배에게 가르침을 받는 경우가 많아 수어 교육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농아인의 날’을 맞아 국립국어원은 수어 사용 실태와 수어에 대한 인식 등을 연구.분석한 ‘한국 수어 활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장애 정도가 심한 만 20세 이상 청각장애인 500명이 참여했다. 설문 내용은 수어 동영상으로 만들었으며 수어 통역사와 농인 조사원이 조사에 참여했다.
그 결과 장애 정도가 심한 성인 청각장애인 가운데 수어를 주된 의사소통 방법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약 30.1%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9.9%로 가장 높았고 30대(60.7%), 50대(55.3%) 순이었다.
수어를 처음 접하거나 배운 시기는 만 7~12세가 41.3%로 가장 높았다. 만 6세 이하에 처음 접했다고 답한 비율은 13.2%에 그쳤다. 이어 만 13~19세(17.5%), 만 20~29세(1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어를 주로 가르쳐준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32.4%가 농인 친구라고 답했다. 이어 농학교 교사(26.9%), 농학교 선후배(15.6%)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수어 강사라고 답한 이는 4.5%에 불과했다.
수어를 주로 가르쳐준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32.4%가 농인 친구라고 답했다. 그 뒤를 농학교 교사(26.9%), 농학교 선후배(15.6%) 등이 뒤를 이었다. 수어 강사는 4.5%에 불과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수어를 처음 접하거나 배운 시기가 청인(聽人)이 언어를 배우는 시기에 비해 늦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면서 “추후 조사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수어를 사용하는 응답자들은 수어 통역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으로 의료기관(83.0%, 복수 응답)을 꼽았다. 이어 공공기관 이용(62.9%), 법률(24.1%), 일상생활(23.5%) 순으로 답했다.
수어를 사용하지 않고 구화·필담·몸짓 등을 통해 소통하는 응답자들 중 약 71.2% 또한 의료기관에서 수어 통역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 뒤를 공공기관 이용(58.6%), 일상생활(25.1%), 교육(20.8%) 등이 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