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독립운동가 이동휘(1873~1935)와 함께 1907년 강화 지역에서 항일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 2인에 대해 진실화해위원회(진실화해위)가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
10일 진실화해위는 전날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 본사에서 열린 제82차 위원회에서 ‘김동수·김남수의 강화에서의 항일운동’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김동수·김남수는 앞서 1907년 7월 24일과 30일 강화에서 이동휘와 ‘일제에 결사 항전하자’는 내용의 대규모 반일 집회를 계획·개최하는 등 항일운동을 펼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에서도 김동수는 기독교를 매개로 이동휘와 친분을 쌓아 사회운동에 뛰어들었다. 1905년에는 이동휘가 강화에 설립한 육영학교에 기부금을 출연하고 학교 소식을 ‘황성신문’에 기고하는 등 이동휘와 함께 교육활동을 통한 애국계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김동수·김남수는 1907년 7월 고종황제 퇴위와 군대해산 등 일제의 압박이 거세지자 그 해 7월 24일 강화읍 연무당에서 이동휘와 함께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대규모 집회를 준비했다.
이어 이들은 7월 30일에도 정족산성 전등사에서 일진회원의 출입을 막고 기독교인 400여 명과 병정 신분이었던 사람들만을 참여하게 해 ‘합성친목회’라는 이름으로 세 차례에 걸쳐 집회를 열었다. 해당 사실은 일제의 경찰보조원 니와 겐타로의 ‘복명서’에서 내용이 확인된다.
김동수·김남수의 결말은 비극적이었다. 이들은 1907년 8월 9일 강화봉기 이후 일진회원에게 “‘야소교인(耶蘇敎人, 기독교인)’이 인민을 선동했다”는 모함을 받아 잔여봉기 가담자 색출과정 중 체포돼 8월 21일 호송 도중 총살당했다.
진실화해위는 과거사정리법 제34·36조에 따라 국가에 김동수·김남수의 명예회복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이날 열린 위원회에서는 △1950년 경북 문경 주민 62명 △1946~1951년 경북 영주·봉화 등 주민 21명 △1950~1951년 전남 장성 주민 31명 등이 군경에 의해 사망한 사건 등에 대해 진실 규명을 결정했다.
다만 1950년 11월~1951년 11월 전북 순창 쌍치면 주민이 빨치산 동조자로 의심받아 국군에 의해 희생된 사건에 대해서는 신청 사건 18건(18명) 중 2명의 희생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지 못해 ‘규명 불능’으로 판단했다. 나머지 16명은 불법적으로 희생된 사실이 진실 규명 결정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