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던 엔화 가치가 급반전해 ‘엔고’로 전환한 가운데 이달 30~31일 열리는 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의 물가 안정 목표의 실현이 다가오면서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여기에 정치권을 중심으로 공개 석상에서 과도한 엔화 약세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라 나오면서 일본은행의 결정이 더욱 주목받는 분위기다.
27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올 6월 회의 때 정한 ‘국채 매입 감액’의 구체적인 규모를 결정한다. 국채 매입은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와 함께 가져온 대표적인 금융 완화 정책이다. 국채를 무제한 사들여 ‘초저금리’를 유지한 비정상적인 방식이다. 일본은 올 3월 마이너스 정책을 해제한 데 이어 올 6월 국채 매입 감액을 발표했다. 요미우리는 현재 월 6조 엔 규모의 매입액을 1~2년 내에 단계적으로 2조~4조 엔까지 줄이는 안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채 매입액 감축이 ‘정해진 이벤트’라면 일각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 단행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일본의 정책금리는 무담보 콜금리 익일물 기준 ‘0~0.1%’로 이를 0.25%로 올리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의 전제로 꼽는 ‘물가 상승률 2%의 안정적·지속적 실현’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는 게 주된 배경이다. 일본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신선식품 제외)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하며 27개월 연속 2%를 웃돌았다. 여기에 집권 자민당과 내각 핵심 인사들의 엔저 견제 발언도 더해지고 있다. 당 차기 총재 후보군인 모테기 도시미쓰 간사장과 고노 다로 디지털상은 최근 잇따라 정책금리 인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이 2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일본은행의 고민을 키우는 지점이다. 그만큼 개인 소비의 힘이 부족하다는 의미라 금리 인상 시 경기 상승세를 꺾을 수 있기 때문이다. UBS증권의 아다치 마사미치 애널리스트는 “장기국채 매입 감액과 동시에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소비가 너무 약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7월 회의 이후 발표될 ‘경제·물가 정세 전망 보고서’에서는 최신 물가 전망이 공개될 예정이다. 올 4월 보고서에서는 2026년도까지 물가 상승률이 대체로 2%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송주희 기자 ss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