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여명] 필리핀 가사 관리사, 그 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현지 엘리트 인재 100명 한국 왔지만

결국 자녀 키우는 최종 책임은 부모 몫

다자녀 가정에 주차장 우선권 부여 등

사회적 관심·협업 통해 세심한 배려를





필리핀 가사관리사 100명이 이달 6일 한국 땅을 밟았다. 24~38세로 모두 필리핀 직업훈련원에서 78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하고 정부 인증 자격증을 취득했다. 대부분이 4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춘 엘리트 인재라고 한다. 이들은 국내에서 4주간 총 160시간의 특화 교육을 받은 뒤 9월 3일부터 6개월 동안 서울 시내 각 가정에 출퇴근하며 아동 돌봄과 가사 서비스를 한다. 서울시가 저출생 극복과 여성 경력 단절 등을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시범사업으로 결과에 따라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필리핀 가사관리사 입국 소식이 전해진 직후부터 이런저런 논란이 일고 있다. 최저임금 차등제가 적용되지 않아 홍콩이나 싱가포르에 비해 임금이 높다는 지적, 업무 범위가 모호해 갈등이 예상된다는 우려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1일 4시간 기준 월 119만 원의 필리핀 가사관리사 비용은 국내 공공 아이돌보미 시간제 종합형(131만 원)이나 민간 가사관리사(152만 원)에 비해 저렴하다. 영어를 사용하는 가사관리사들이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대는 덤이다. 돌봄과 가사를 어느 정도까지 맡아줄 수 있느냐는 각 가정의 사정에 따라 조율할 수 있는 부분이다. 100명의 필리핀 가사관리사를 총 751가구가 고용하겠다고 신청했으니 시장성은 이미 입증된 셈이다. 이제는 시범사업을 통해 불거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찾아 제도를 안정·발전시키는 것이 과제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의 입국과 각종 논란을 지켜보면서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려면 역시 제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공감과 협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자는 세 자녀의 부모다. 아직 모두 미성년자다. 요즘 많이 거론되는 저출생 위기의 원인들을 직접 체험해왔다. 사회가 이런저런 도움을 준다고 하지만 결국 자식을 키우는 최종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 힘들고 지치지만 아이들을 잘 키워야겠다는 마음이 계속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그런 측면에서 다자녀 가정이 일상 속에서 사회로부터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세심함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저출생 극복을 위해 우리 공동체가 할 수 있는 일이다.



두 살짜리 쌍둥이를 앞뒤로 하나씩 메고 한 손으로 큰 아이의 손을 잡고 마트에 갔을 때의 기억이 아직도 선하다. 아내가 장보기를 마쳐 짐까지 생겼을 때는 좌절감마저 느꼈다. 매장 입구에서 약 50m 거리에 주차된 차까지 걸어가는 길이 마치 전쟁터 같았다. 매장 입구 근처의 장애인 주차장을 다자녀 가정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마트나 공공기관의 장애인 주차 구역을 다자녀 가정이 함께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만하다. 자녀 중 막내가 미취학 아동일 때까지만이라도 말이다.

다섯 명의 가족 가운데 누구 하나가 아프면 그야말로 비상이 걸린다. 오죽하면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아이가 가족 중 처음으로 감염됐을 때 “차라리 온 가족이 한꺼번에 다 걸리자”고 아내에게 얘기했을까. 요즘처럼 ‘의료 대란’ 탓에 의사들까지 부족하면 속이 더 타들어간다. 아이가 아픈데도 언제 진료를 받을 수 있을지, 적절한 치료나 수술은 받을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다자녀 가정의 경우 일정 기간 우선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방안도 우리 공동체의 세심한 배려 아닐까.

필리핀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에서 일하는 필리핀 사람들이 본국으로 송금한 돈은 372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해 국민총소득의 7.7%를 차지했다. 송금액은 2002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시절을 제외하면 한 번도 줄어든 적이 없었다. 해외 필리핀 노동자들의 송금은 필리핀 경제를 떠받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한국의 가사관리사 시장에서 번 돈도 결국 필리핀으로 돌아갈 것이다. 하지만 돌봄 노동을 제공하는 인구가 점차 줄어드는 우리에게는 다른 대안이 딱히 없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한국인 가사·육아 도우미 취업자는 2019년 15만 6000명에서 2022년 11만 4000명으로 26.9% 줄었다. 3월 발표된 한국은행 자료는 돌봄 인력 부족 규모가 2022년 19만 명에서 2042년 61만~155만 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가적 위기인 저출생 극복에 돈이 들어간다면 써야 한다. 다만 비교적 돈이 적게 들어가거나, 아예 돈이 들지 않지만 사회적 공감과 협업으로 가능한 일이 있다면 그것 역시 놓치지 말아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