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선한 정국 속에서 유튜브의 부정적 영향이 다시 한 번 주목을 받고 있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12일 대국민 담화 내용 중 일부가 극우 유튜버들의 부정선거론과 일맥상통한다는 의혹이 나오면서다.
지난 12월 3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 의혹 규명’이 언급된다. 윤 대통령은 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대국민 담화에서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전산 시스템이 ‘엉터리’였다고 말했다.
담화가 나온 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윤 대통령이 일부 극우 유튜버들의 부정선거론과 일맥상통한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들의 세계관에 빠져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쏟아져 나왔다.
그간 유튜브 알고리즘이 편향적 사고를 부추긴다는 우려는 꾸준히 거론돼 왔다. 여기에 비이성적 주장과 나아가 가짜뉴스 같은 음모론도 유통돼 시민들의 판단을 방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들의 일상에서도 이로 인한 갈등이 일어나곤 한다. 직장인 김모(30)씨는 연합뉴스를 통해 “60대인 부모님이 정치 유튜브를 자주 보시는데 음모론에 과몰입하실까 봐 걱정된다”며 “어릴 때는 부모님이 인터넷을 다 믿지 말라 하셨는데, 이제는 내가 부모님께 유튜브를 맹신하지 말라고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많은 시민이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확증편향’에 빠질 것을 우려한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옳고 그름을 심사숙고하기 전에 마음이 편한 쪽으로 취사선택을 하는 것”이라며 “논리적 분석 없이 심리적으로 그동안 지지해 왔던 주장을 무조건 선택하는 심리가 작용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이어 “노년층일수록 살아온 세월이 있으니 믿어온 사람과 정당이 잘못됐다고 하면 받아들이기 더 어렵다. 인지부조화 심리”라며 “내 편만 찾아 만나면 더 매몰될 수밖에 없다. 거리가 먼 사람들 의견도 들으려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효성 있는 제도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선 나한테 불리한 뉴스가 가짜뉴스가 되는 상황”이라며 “허위 조작된 정보를 퍼뜨리는 사람이 어느 정도 책임을 져야 하는지 사회가 보여주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