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 미국에서는 트럼프 시대 일본이 바쁘게 뛰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4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공동 기자회견도 했습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배우자 아키에 여사도 마러라고에서 트럼프 내외와 나란히 사진을 찍었습니다. 한국은 정국 수습도 되지 않고 있지만 일본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손정의와 함께 취임 첫 기자회견 연 트럼프
트럼프는 16일(현지 시간)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손 회장과 나란히 섰습니다. 소프트뱅크의 미국 투자 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기자들 앞이었고 자연스럽게 기자회견으로 이어졌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된 후 기자회견을 한 것은 처음입니다.
트럼프는 "소프트뱅크는 100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고 최소 10만 개의 미국인 일자리를 만들 것"이라며 "그는 대선 이후 미국에 매우 낙관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역사적인 투자는 미국의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일"이라며 "이것은 인공지능(AI), 신흥 기술, 기타 미래 기술이 미국에서 만들어지고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자평했습니다.
손 회장은 "미국 경제에 대한 내 신뢰 수준은 트럼프의 승리로 엄청나게 높아졌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소프트뱅크의 투자는 트럼프 2기 4년 동안 진행될 예정이며 챗GPT에 대한 15억달러 규모의 투자 등 이미 발표된 것도 전체 투자 규모에 포함될 수 있다고 CNBC는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투자 계획에는 데이터센터, 반도체,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포함해 AI와 관련된 인프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프트뱅크는 트럼프 1기 때도 50억달러를 투자해 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다만 블룸버그는 "이날 손 회장의 발표는 소프트뱅크가 자본을 어디서 조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즉시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아키에 여사 만난 트럼프 내외…트럼프 “취임 전에 日 총리 만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아키에 여사는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트럼프와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회동했습니다. 멜라니아 여사는 15일 엑스(X, 옛 트위터)에 트럼프, 아키에 여사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고 "아베 아키에 여사를 마러라고에서 다시 맞이해 영광이었다. 우리는 그녀의 작고한 남편인 아베 전 총리를 추모하고 그의 훌륭한 유산을 기렸다"고 적었습니다. 교도통신과 요미우리신문 등은 트럼프 부부가 아키에 여사와 저녁 식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 측은 “이 건에 대해 정부가 코멘트 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트럼프가 일본 측과 스킨십을 가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실제 16일 트럼프는 기자회견에서 “일본 총리에게 아키에 여사를 통해 여러가지를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또 ‘취임 전에라도 일본 총리와 만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들이 그렇게 하길 원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후 동맹국과 협상 계획”
이날 트럼프 측이 전기차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하고 개별 국가들과 협상을 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한국 입장에서 손익을 따져보고 빠르게 대응해야 할 요소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죠.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인수팀의 내부 문건을 확보했다며 “인수팀이 전기차와 충전소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중국산 자동차 및 부품, 배터리 소재를 차단하는 조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문건에 따르면 인수팀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최대 7500억달러 규모의 보조금(소비자 세액 공제)을 폐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장한 내용과 일치합니다. UC버클리의 조셉 샤피로는 세액 공제 철폐 시 향후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27%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해 보조금을 바라보고 미국 내 투자를 늘린 한국 기업에게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또 배터리, 핵심광물, 충전부품 등 '전기차 공급망'에 관세를 부과하자는 제안도 들어 있습니다. 수입 제한을 위해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사용한다는 주장인데요. 로이터는 "인수팀은 전세계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해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동맹국들과는 개별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미국에 많은 투자를 한 가운데 이 같은 관세는 일부 소재와 부품 가격을 올려 생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한편으로는 한국 기업을 배제하면 미국에서 배터리를 생산할 역량이 있는 기업을 찾기가 쉽지 않아 미국 정부로서도 한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 점유율은 올해 3월 현재 49.7%에 달하며 일본이 32.6%, 중국이 16.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