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닷새째인 2일 오후 12시 30분께 유가족들은 무안국제공항에서 버스를 타고 희생자 유류품이 보관된 공항 차고지로 향했다. 이날 경찰이 여권·가방·휴대폰 등 희생자 유류품 221건의 소유자(희생자) 명단을 유족에게 제공하기로 결정하면서다.
각 희생자 유족 대표 1명씩 조를 나눠 20분 간격으로 유류품 보관 창고를 찾았다. 유가족들은 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며 절박한 표정으로 길을 나섰다.
이후 유류품을 인도받고 무안공항에 마련된 임시 텐트로 자리를 옮긴 유가족들은 희생자의 옷가지와 가방, 신분증 등을 펼쳐보며 눈물을 멈추지 않았다.
전남경찰청의 한 관계자는 “유류품은 현장 수색이 진행됨에 따라 추가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수량이나 인계 내역은 유족 대표단의 요청으로 공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버스 2대를 이용(1대당 20인 이하 1조 편성)해 소유자 확인이 가능한 유류품의 유가족(직계에 한함)부터 유류품 보관소로 이동, 증빙서류 확인을 거쳐 유류품을 인계했다. 소유자 확인이 안 된 유류품에 대해서는 유족 대표단과 협의 중이다.
사고 기체 주변에서는 참사 원인 규명을 위한 경찰과 소방 당국의 조사도 이어졌다. 첫 유해 인도가 이뤄진 지난해 12월 30일 4명을 시작으로 31일 7명, 이달 1일 13명이 유족 동의와 서류 절차를 걸쳐 빈소로 옮겨졌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장례를 지르기까지 수습 과정이 어렵다고 호소했다. 제주항공 참사 유족 대표단 박한신 대표는 “희생자 179명의 신원이 모두 확인됐지만 가족을 잃은 아픔은 어찌할 도리가 없다”며 “가족은 찾았지만 그 따뜻했던 온기는 어디에도 없다”고 울먹였다. 그러면서 “모든 탑승자 신원이 확인됐기에 현재 과제는 가족들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 장례를 치르는 것”이라며 “하지만 신원 확인 이후로도 장례를 치르기까지 수습 과정이 길고 어렵다”고 절박한 심정을 호소했다.
특히 박 대표는 무안공항을 방문한 우원식 국회의장,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희생자들의 49재까지만이라도 합동분향소를 운영할 수 있게 해달라”며 “타 지역 분향소를 철거해도 광주·전남 지역 분향소는 지켜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장례 절차를 끝내면 더 힘들어질 텐데 분향소가 없다면 유가족 간 논의 공간과 달래줄 사람들이 사라지게 된다”면서 “일부 유튜버들이 인신공격하는 것도 유가족을 힘들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안공항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도 이른 아침부터 유족들의 곡소리는 더욱 서글펐고 추모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유족들은 분향소에 걸린 영정 사진에 눈을 떼지 못하며 눈물을 훔쳤다. 이들의 울음소리에 추모객들도 함께 슬퍼하며 비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이곳을 찾은 이연경(47) 씨는 “희생자들의 사진을 보고 있으니 마음이 저려 온다”며 “너무나 참혹하고, 희생자들의 명복을 빈다”고 목이 멘 채로 말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에 참석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성금 모금이 진행되는 중간에라도 긴급한 지원과 함께 유가족 요청에 따라 훼손이 심한 시신 보형물 복원과 사고 수습 절차를 기록한 백서 발간 등을 건의했다.
한편 정부는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에 나섰다. 사고기에서 수습한 블랙박스 중 하나인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의 자료는 음성 변환 작업을 마쳐 사고 조사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높이 및 위치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며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점검은 오늘부터 8일까지”라고 밝혔다. 활주로 너머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면 승무원 2명을 제외하고 탑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실태 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