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수년간 급성장을 거듭한 K팝 시장이 지난해 실물 음반 판매량이 감소하고 수출액도 정체하는 등 성장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는 그룹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가 활동을 재개하고 하이브·SM·JYP 등 대형 기획사에서 잇따라 신인 그룹을 선보일 예정이어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16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음반 수출액(이하 수리일 기준·HS 코드 8523.49.1040)은 2억9183만7000달러(4238억원)로 전년도 2억9023만1000달러(4215억원)보다 0.55% 증가했다. 사실상 거의 늘어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최근 몇 년간 음반 수출액은 2019년 7459만4천달러(1083억원), 2020년 1억3620만1000달러(1977억원), 2021년 2억2085만달러(3205억원), 2022년 2억3138만9000달러(3358억원) 등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을 분기점으로 급증했는데 작년 이러한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작년 음반 수출액을 대상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8978만6000달러(1303억원)로 1위였고, 미국(6029만3000달러·875억원)·중국(5978만9000달러·868억원)이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톱 3'를 차지했다.
K팝 시장의 '큰 손'인 이들 세 국가의 수출액 점유율은 72.8%에 달했다.
중국은 경기 불황과 한한령 등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도 작년 수출액이 전년 대비 76.4% 증가했고, 일본은 반대로 같은 기간 24.7% 감소했다.
김진우 써클차트 수석연구위원은 "작년 4월까지는 중국 내 (K팝 음반) 판매량이 오르내리며 불규칙했는데 5월부터는 현지 시장이 다소 살아났다"며 "작년 수출 데이터가 무너지지 않고 답보 상태로 있는 까닭은 중국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K팝 시장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는 또 다른 '가늠자'인 연간 총 음반 판매량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작년 1∼12월 써클차트 기준 실물 음반 판매량(1∼400위 합계)은 약 9천890만장으로 전년도 대비 2천130만장 감소하며 1억장 아래로 내려갔다.
가요계에서는 이를 두고 작년 '초동(첫 주 판매량) 경쟁', '무한 팬싸'(음반 물량을 소진할 때까지 팬 사인회를 계속 개최), '음반 밀어내기'(필요 이상의 물량을 출하하거나 중간 판매상에게 구매하게 하는 것) 등 K팝 시장의 '병폐'로 지목되던 과도한 마케팅이 다소 수그러들었다는 점을 지목한다.
또 주요 아이돌 그룹의 팬덤에서도 2022∼2023년과 같은 판매량 기록 경쟁이 과열되지 않았다는 점도 꼽는다.
김진우 수석연구위원은 사견임을 전제로 "작년 음반 판매량 감소량은 상위권 보이그룹에 몰려 있고, 걸그룹은 전년도 대비 큰 변동은 없이 선방했다"며 "이 때문에 (판매량 감소가) 우려스러운 K팝 산업의 구조적, 근본적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분석했다.
작년에는 특히 가요계 대목이라 할 수 있는 여름에 '대형 스포츠 이벤트'인 2024 파리올림픽이 열려 K팝에 대한 관심도가 줄어들기도 했다.
이러한 영향 등으로 작년 3분기 하이브와 SM 등 대형 기획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했고, YG는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다만 가요계에서는 올해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가 팀 활동을 재개하면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TS는 이미 전역한 진·제이홉 외에 RM, 뷔, 지민, 정국, 슈가 다섯 멤버가 오는 6월 병역의 의무를 마친다. 블랙핑크는 올봄 신곡 작업에 들어가 '공연 성수기'인 여름께부터 새 월드투어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하이브, SM, JYP 등 대형 기획사들이 올해 잇따라 신인 그룹을 내놓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JYP는 이달 20일 신인 보이그룹 킥플립을 선보이고, SM은 다음 달 8인조 걸그룹 하츠투하츠와 한영 합작 보이그룹 디어 앨리스를 데뷔시킨다. 하이브도 연내 라틴 현지 아티스트를 내놓는 게 목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