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한국인의 일본 여행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제주 여행은 하락세를 보였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1187만명으로 2023년(1266만명) 대비 6.2% 줄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12.4% 감소했다. 반면 작년 방일 한국인 수는 전년보다 26.7% 늘어난 882만명에 달했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전체 외국인 가운데 가장 많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57.9% 폭증했다.
업계에선 작년 일본행 수요가 급증한 데 대해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급증한 해외여행 수요가 상반기에도 이어졌고, 특히 엔화 가치 하락(엔저) 영향으로 일본을 찾은 여행객이 많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엔저로 인해 일본 여행 비용 부담이 줄어들면서 한국인 여행객의 수요가 급증했고, 이에 따라 일본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소도시로 향하는 여행객의 수요도 급증했다는 것이다. 수요가 늘자 업계는 항공노선과 상품을 확대해 모객에 집중했다.
지난해 10월 국내 항공사들은 약 5개월간의 동계 항공 스케줄에 맞춰 일제히 국제선 중 일본 노선 항공편을 확대했다. 수요가 몰리면서 공급 확대로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2024년 일본행 항공편은 2023년(10만8303편) 대비 26% 증가한 13만6506편으로 집계됐다.
반면 제주행 국내선 항공편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가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서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15만6533편으로 2023년(16만1632편) 대비 3.2% 줄었다. 항공편 감소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관광업계 우려가 나오는 대목. 전체 여행 경비 부담이 늘면 대체 여행지로 수요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제주도 여행 기피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고물가를 지목했다. 코로나19 이후 제주도 물가가 급등하면서 일본, 동남아 등 단거리 해외여행이 오히려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항공사들은 수요 감소에 대응해 제주 노선을 마일리지 소진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 여행은 해외여행과 달리 여행비용이 가심비(가격 대비 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꼽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항공편 감소는 관광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편 감소는 좌석 수가 줄어 항공료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국내 여행 항공료가 높게 책정되면 일본, 중국 등과 비교를 통해 더 저렴한 곳을 찾아 여행 계획을 바꿀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제주는 수학여행단을 유치해 관광 산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날 제주도와 제주도관광협회는 올해부터 수학여행단 안전요원 고용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