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2012년 1.3에서 2022년 0.78로 급감했다. 2024년에는 0.75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측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저출산 요인으로 꼽히는 사교육비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통계청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지난해 초중고생 79%가 사교육을 받았다. 사교육비 총액은 27조원으로, 2015년(18조원) 대비 50% 가까이 늘었다.
반면 초중고 학생 수는 같은 기간 609만명에서 521만명으로 15% 감소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데도 사교육 시장은 오히려 커지고 있는 것이다.
월평균 1인당 사교육비도 2017년 38만원에서 지난해 55만원으로 45% 급증했다. 가구별로 보면 월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가 300만원 미만 가구보다 3.7배 많이 지출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월 7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강남구 도곡동·역삼동은 2023년 기준 월 185만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9년 월 140만원에서 서울 평균 증가율(32%)을 적용한 수치다.
도곡동·역삼동에서 초중고 12년간 사교육을 받으면 총 2억7천만원이 든다. 제주도 전용면적 71㎡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금액이다.
'교육의 수익률을 높여라' 저자 박경인·권준모는 "유치원 3년, 재수 1년까지 포함하면 16년간 3억5천만원이 든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치동에만 1600개 학원이 있고 일부 강좌는 월 300만원을 호가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진정한 '등골브레이커'는 사교육"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