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3일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나 “야당의 국정 마비를 막기 위한 무거운 책임감으로 비상계엄 조치를 한 것”이라며 “계엄을 통해 국민들이 더불어민주당의 독재 행태를 알게 된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대통령이 ‘옥중정치’를 이어가자 야당은 “국정 혼란을 부채질한다”고 비판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과 만나 “당이 하나가 돼서 2030 청년을 비롯해 국민들에게 희망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여당 지도부가 구치소 수감 이후 윤 대통령을 만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나 의원은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그동안 줄탄핵과 예산 삭감 등 민주당의 의회 독재로 국정이 마비되는 것을 바라보고 있을 수 없어서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으로 조치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계엄을 통해 국민들이 그동안 민주당 1당 마음대로 국정을 마비시킨 여러 행태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다행”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윤 대통령은 “국제 정세, 세계경제와 관련해 대한민국 걱정을 많이 했다”고도 전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접견이 당 지도부의 공식 입장이 아닌 개인적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우리 당 출신 대통령이고 지금은 직무정지일 뿐”이라며 개인 자격의 접견임을 강조했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된 윤 대통령의 사면 요구에 대해서는 “사면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날 여당 지도부 투톱의 대통령 접견을 대해 당내에서는 중도층 이탈의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재섭 의원은 “혁신 경쟁에 뛰어들어야 할 비대위가 대통령을 만나러 가는 모습은 과거에 매몰되는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국민적 난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집권당 지도부가 내란수괴범을 접견하고 무슨 얘기를 들으려는 것인가”라며 “국정 혼란을 더욱 부채질하는 행보”라고 일갈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응해 수석비서관급 회의를 열어 미국의 주요국 대상 관세정책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 등을 논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