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3일 미국과의 ‘2+2’ 통상 협의에 대해 “미국 쪽의 요청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고 예비적 의견을 제시하는 목적”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회의에 ‘차기 정부에 협상을 상당 부분 넘기는 게 바람직하지 않나’라는 이재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협상의 속도나 마무리 시점에 대해서는 예단하고 싶지 않다”며 “서둘러서 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대통령 선거까지 40여 일 남고 미국의 관세 유예 기간까지 70여 일 남아있기 때문에 그 기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협상 전략이 중요한 부분”이라며 “정부가 남은 기간 동안 최대한의 국익을 반영하기 위한 협상에 덩어리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국 동맹 간의 협상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옵션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대통령과 권한대행의 외교에 치가 전혀 없나’라는 차지호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국익을 위해서라면 해야 될 일은 해야 한다”며 “대행 체제도 헌법 체제 하에서 이뤄지는 체제이기 때문에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손 놓고 있으라는 말씀인가”라며 “제한적으로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한 “아무 것도 안 하고 가면 차기 정부가 더 힘들 수 있다”고 부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