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정부가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 예외’ 조항을 담은 반도체 특별법의 2월 임시국회 처리 필요성을 피력했다.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반도체 산업은 대한민국 생존이 걸린 문제”라며 “이재명 대표가 조금이라도 진정성이 있다면, 반드시 2월 중에 반도체 특별법을 처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이미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주요국들은 반도체를 국가안보 전략산업으로 여기고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라며 “연구·개발(R&D)과 생산이 24시간, 365일 지속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산업”이라고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중국판 챗GPT라 불리는 딥시크에 대해서도 “R&D 연구진들의 노력과 중국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이 결합된 결과”라며 "중국 테크업계의 연구·개발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문화’가 일반적"이라고 짚어냈다.
이어 엔비디아 또한 예로 들며 "세계 시가총액 1위 반도체기업인 엔비디아도 고강도 근무 문화로 유명하다"고 덧붙였다.
권 원내대표는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연 반도체 특별법 토론회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쏟아내기도 했다. 그는 “어제의 맹탕 토론회는 입법 권력을 독점한 이재명 대표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계를 향해 해줄까 말까 조롱하는 것과 다름없다”라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