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서계동 1번지 일대 옛 국립극단 부지가 2030년까지 ‘서계동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난다. 공연장·연습장과 예술인 지원주택이 결합한 서울의 공연예술 거점이 된다. 이에 따라 남산 국립극장, 공연예술창작센터, 명동예술극장, 국립정동극장 등과 연계한 ‘남산공연예술벨트’가 완성되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유인촌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계문화마당㈜과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유 장관은 “남산 공연예술창작센터와 국립정동극장 재건축에 이은 새로운 유형의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은 공연예술 산업 성장을 위한 튼튼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또 ‘예술인 지원주택’을 공급해 창작 공간과 주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예술인들의 복지 향상과 소중한 창·제작의 산실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계동 복합문화공간’은 중구 서계동 서울역 인근 약 7904㎡ 규모의 국립극단 부지에 공연장(4개소), 연습실(10개소), 공연 전문도서관, 전시관, 업무·판매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200호 규모의 공공임대주택 성격의 예술인지원주택이 함께 건축된다.
사업비는 복합문화공간 1229억 원에 공공임대주택 255억 원 등 총 1484억 원이다. 준공 후 시설 소유권은 국가 및 지자체에 귀속되며 서계문화마당㈜(대표사 HJ중공업)은 20년 간 시설을 운영하고 관리할 권리를 갖는다. 예술인 지원주택은 LH가 30년 간 운영한 뒤 문체부에 기부채납할 예정이다.
서계동 부지는 유 장관과도 개인적으로 인연이 있다. 당초 이곳은 기무사 수송부대 부지였다가 외곽으로 이전하고 유 장관이 첫 번째로 문체부에 있던 2010년 리모델링을 통해 국립극단이 입주했었다. 이번에 국립극단이 다시 남산 국립극장으로 돌아가면서 이 부지가 현대식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조성되는 것이다.
유 장관은 “제가 했던 것을 다시 새롭게 하게 돼 기쁘고 감동스럽다”며 “이곳이 새로운 국제 교류의 무대이자 공연예술가들의 요람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따라 ‘서울 남산공연예술벨트’가 완성될 예정이다. 앞서 확정된 대로 남산 국립극장 인근 자유센터 건물에 ‘공연예술창작센터’라는 이름으로 창·제작 시설을 확충해 공연연습실, 스튜디오, 무대 보관소 등을 2026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또 중구 정동극장은 2029년 완공을 목표로 공연장과 편의시설을 확대하고, 명동 중심의 명동예술극장은 더 많은 국민들과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공연시설로 활성화해 공연예술 산업 전반을 성장시킬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