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40년까지 공원 녹지율을 31.2%로 끌어올리고 탄소 흡수량도 8.8% 높일 예정이다. 생활권 중심의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반려동물 동반 가구 등의 수요를 공원 조성 때 반영한다.
서울시는 5일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204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6일 밝혔다. 공원녹지 기본계획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공원녹지 확충과 관리, 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향후 서울이 만들어 갈 공원 녹지의 방향성을 담는 장기 계획이기도 하다.
이번 계획은 2015년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 발표 후 10년 만에 수립한 계획이다. 직전 계획은 지역 간 녹지 불균형 해소에 초점을 뒀다면 이번 계획은 생활권 단위로 녹지를 조성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녹지의 질적 제고를 지향하는 것도 차별점이다.
첫 번째 목표로는 기후변화·방재를 위한 공원녹지 기능 강화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2040년까지 공원녹지율을 2023년(29.2%) 대비 2%포인트 늘어난 31.2%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서울시 공원 녹지의 탄소 흡수량도 2023년보다 8.8% 높은 22만 2162t CO2eq까지 높일 계획이다.
녹색 회복, 녹색 채움, 녹색 이용이라는 3개 목표를 통해 광역에서 생활권까지 촘촘한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시는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 변화, 미세먼지 및 기후변화 대응, 공원의 질적 개선, 적극적인 여가공간 확보, 스마트 기술의 발달 등 여러 변화를 계획에 담았다.
이를 근거로 서울시는 공원녹지 확충 및 연결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원유형도 입체공원 등으로 다변화했고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반려동물 가구의 다양한 공원녹지 수요를 공원 기본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공원별로 가족, 반려동물, 숲, 캠핑 등 차별화 요소가 있는 명소화 전략도 마련했다.
개방형 녹지 제도도 적극 반영해 도심 내 고밀 개발과 녹지 확충을 동시에 꾀할 예정이다. 탄소 저감은 물론 기후 위기로 인한 집중호우, 산사태 등 각종 도시 재해에 적극 대응하고자 방재기능을 높이는 방안도 담았다. 다양한 환경·사회 문제 대응을 위해 공원녹지의 역할을 강조한 자연기반 해법 활용 역시 제시했다.
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본 계획을 최종 고시하고 상반기 내 기본계획의 전체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생활권 내 공원 녹지를 평면적만 아니라 입체적,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등 도시 전체를 녹색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기후위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정원도시 서울'을 통해 서울시가 세계도시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서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