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고정밀 전자지도로 도시 활용도를 높인다. 진척 상황은 서울 다음 수준으로 내년까지 최신 수치지형도를 완성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디지털 복제(트윈) 조기 완성을 위한 국비 매칭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챌린지 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사업은 민간 활용에 필요한 대축척 수치지형도(1대 1000 수치지형도)를 제작하는 사업으로 디지털 복제 운영에 필수 요소인 도심지역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한다.
특히 드론과 라이다·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등을 활용해 정밀도로지도, 3차원 건물·수목 모형, 태화강 생태하천지형도 등을 구축한다. 1대 1000의 대축척 수치지형도는 기존 1대 5000 수치지형도에서 표시하기 어려웠던 맨홀, 가로등, 신호등 등 도시 인프라의 세부적인 요소의 위치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는 도시계획 수립, 사회 기반 시설(SOC)설계, 지하시설물 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긴급 사태 시 신속하고 정확한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국내·외 지도 포털 서비스, 내비게이션, 입지 분석 등 다양한 위치정보 서비스에 활용된다.
울산시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오는 12월까지 약 199㎢에 대해 수치지형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울산의 전체 면적은 1062㎢ 가량으로 지난해 183㎢를 제작했다. 산악지형 등 자세한 수치지형도가 필요 없는 곳을 제외하면 실제 2026년께 울산 전역에 대한 최신의 수치지형도가 완성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에 2년 연속 선정돼 디지털 복제 울산을 구현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공간정보 기술의 융복합 활용으로 시민의 생활 편의와 행정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