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베트남이 미국과의 상품 교역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6일(현지 시간)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상품 무역 흑자는 1235억 달러(약 178조 원)로 집계됐다. 전년(1045억 달러) 대비 18.2% 늘어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국가별 흑자 규모를 보면 중국, 유럽연합(EU), 멕시코에 이은 네 번째로 큰 수준이며 증가율은 중국(5.8%), EU(12.9%), 멕시코(12.7%)를 모두 앞선다.
베트남은 미중 무역 전쟁의 반사이익을 본 대표적인 국가로 꼽힌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대중 규제가 강화되자 관련 기업들이 생산 시설을 옮겨 베트남을 미국에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 활용하면서다. 이런 배경에 힘입어 최근 베트남의 대미 흑자는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다만 흑자 규모가 확대되자 베트남이 트럼프가 추진하는 고율 관세정책의 다음 타깃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상당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멕시코·캐나다 등 무역적자를 보는 국가 위주로 관세율을 높이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다. 싱가포르 소재 싱크탱크인 하인리히재단의 무역정책 전문가 데버라 엘름스는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에 집착하고 있어 베트남이 관세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베트남 정부는 트럼프 정부와 타협안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미국산 물품 구매를 늘리는 등 대미 흑자를 줄이는 방안들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지난달 22일 베트남의 막대한 대미 흑자를 재조정하기 위한 해결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