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상하 신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이 “임기 내 미리 내 집(장기전세주택 Ⅱ) 등 공공 임대 주택을 확대 공급하겠다"고 취임 목표를 밝혔다.
황 사장은 11일 지난해 12월 취임 이후 첫 기자 간담회를 열고 “서울의 출생율은 0.5명 대이지만 장기전세주택 입주자의 출생율은 0.7명 대에 달한다”며 저출생 극복을 목표로 미리 내 집의 공급을 늘려나가겠다고 이같이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SH가 시행을 맡고 있는 서리풀, 구룡마을 등 입지가 좋은 곳에 미리 내 집이 공급되면 신혼부부 사이에서 미리 내 집의 수요가 더욱 커질 것”이라며 “미리 내 집을 도로, 인프라, 학교 등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위치에 공급하도록 공급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미리 내 집은 신혼부부에게 우선 장기전세주택을 제공하고 자녀 출산 시 거주 기간을 연장하거나 시세의 80∼90% 수준으로 분양 혜택을 주는 사업이다. 지난해 작년 7월 올림픽파크포레온 300가구를 시작으로 지난해 총 1022가구가 공급됐으며 올해 3500가구, 내년부터 연 4000가구씩 공급 예정이다.
황 사장은 미리 내 집 확대 공급을 위해 SH가 보유한 마곡 유보지 등을 활용하겠다는 전략도 내비쳤다. 현재 마곡에는 약 7만 5000㎡의 SH 소유 유보지가 있다. 미래산업 수요를 대비 해 남겨 놓은 땅이지만 유보지 일부를 주택 용지로 활용해 공공 임대 주택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황 사장은 공공 임대 주택 확대 공급을 위해 정부의 국가보조금 현실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울에서는 지방보다 임대 주택을 매입하거나 직접 개발해 공급하는 비용이 훨씬 많이 들지만 국가보조금은 단가를 전국 평균으로 산출해 지급된다”며 “서울의 공급 부족 문제가 지방에 비해 심각하고 비용도 훨씬 더 많이 드는 만큼 국가 보조금 현실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황 사장은 오세훈 시장의 역점 사업인 한강 일대 개발 사업에서 ‘공공성’을 유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한강 개발사업은 도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단 SH가 한강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것은 공공성을 확보하는 의미기 때문에 전 서울 시민이 동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SH가 신경을 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황 사장은 전임 사장이 주장했던 SH의 3시 신도시 개발 참여는 백지화를 선언했다. 그는 “저는 서울 전문가이고 SH 역시 서울 내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는 기관”이라며 “저희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3기 신도시에 참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